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최근 서울 양재동 서초 연구개발(R&D)캠퍼스에서 ‘LG 해킹대회 2022’ 본선 경기를 열었다. 이번 대회는 사이버보안의 중요성 인식 제고와 소프트웨어(SW) 개발자들의 역량 향상을 위해 마련됐다.
28일 LG전자에 따르면 사내 첫 모의 해킹대회는 임직원 150여명이 참가해 온라인 예선을 거쳐 총 13개 팀(2~3인 1팀)이 본선에서 올라 경쟁을 펼쳤다.
특정 시스템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을 파악한 뒤 이를 공격해 권한을 탈취하고, 시스템 내 주어진 문제 답을 찾는 식으로 이뤄졌다. 제한된 시간 내 가장 많은 문제를 해결한 팀이 우승자가 된다.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 해킹과 웹 해킹 분야에서 각각 우승팀이 선발됐다. 해당 시스템은 제품이나 솔루션에 추가로 탑재돼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만든다.
가전·TV·전장·기업(B2B) 등을 담당하는 각 사업본부를 비롯한 최고기술경영자(CTO)부문, 최고디지털책임자(CDO)부문, 플랫폼사업센터, 생산기술원 등에서 참가자들 지원했다.
특히 참가자들은 대회에서 각 문제가 특정 상황을 가정하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시스템 환경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LG전자는 이를 계기로 현장의 서비스, 내부 시스템 등이 사이버공격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될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는 대회에 앞서 전체 참가자를 대상으로 해킹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초청한 세미나도 진행했다. 화이트해커로 유명한 ‘스틸리언’ 박찬암 대표 등 국내외 사이버보안 전문 교수들이 해킹 유형·정보보안을 주제로 강연했다.
LG전자 엄위상 소프트웨어공학연구소장은 “해킹대회에서 보안에 대한 임직원들의 뜨거운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며 “뛰어난 역량을 갖춘 SW 개발자를 지속 발굴하고 육성해 세계 최고 수준의 사이버보안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