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구축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인 '교통안전 스마트 알리미' 실증사업에 나선다.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구축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인 '교통안전 스마트 알리미' 실증사업에 나선다. 사진=LG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와 서울시가 16일 자율주행 통신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교통안전 서비스를 선보였다. 

교통안전 서비스는 서울시와 함께 구축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인 교통안전 스마트 알리미에서 보행자, 차량, 오토바이, 킥보드, 자전거 간 충돌위험을 미리 알려주는 방식이다.

LG전자의 소프트 V2X가 적용됐으며, 전용 단말기 없이 누구나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앱은 이용자들의 현재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등의 데이터를 5G 클라우드 시스템에 전송해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제공한다. 수집된 정보는 충돌위험이 예측되면 소리, 진동 등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해 사고 가능성을 낮춘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폐쇄회로(CC)TV와 연동돼 앱을 설치하지 않은 보행자의 충돌위험도 감지할 수 있다. LG전자는 서울시와 어린이 교통안전 특화시스템 구축 실증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서울시는 보행자의 통행량이 많은 주요 지점 7곳에 스마트 CCTV 22대를 설치할 예정이다. LG전자와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시범 운영 효과 검증을 완료할 방침이다. 

제영호 LG전자 ICT기술센터 C&M표준연구소장은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기존 V2X와 달리 모바일만 있으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산에 장점이 있다”며 “지속적인 사고 예방 솔루션 개발로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