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서초 R&D캠퍼스에서 ‘협력사 상생 위한 사이버보안 워크샵 2022’를 열고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가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서초 R&D캠퍼스에서 ‘협력사 상생 위한 사이버보안 워크샵 2022’를 열고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 사진=LG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강화와 지속 가능한 상생 체계 구축을 위해 협력사 사이버보안 경쟁력 향상에 나섰다. 

앞서 LG전자는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서초 연구개발(R&D)캠퍼스에서 ‘사이버보안 워크샵 2022’를 열었다. 행사에는 LG전자와 협력사 약 50곳을 비롯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이화여자대학교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최근 기술 발전에 따른 공급망 보안을 위협하는 유형이 다양해졌고,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며 국제 기준도 강화되는 추세다. 특히 사이버보안은 신기술·신공법 R&D부터 생산, 납품, 폐기까지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전 과정에서 필요하다.

LG전자는 이 같은 흐름에 맞춰 협력사가 사이버보안 경쟁력을 갖추고, 각국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행사에서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 

워크샵에서는 자동차분야 국제 기준 대응 사례도 발표됐다. 또한 소프트웨어(SW) 개발 등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에서 수행해야 할 자사 표준 보안개발 프로세스(LG SDL)가 소개됐다. 회사는 자체 개발한 사이버보안 진단도구 및 오픈소스 관리도구도 선보였다.

한편 LG전자는 이번 워크샵을 시작으로 협력사들이 정보통신망을 이용하는 각종 시스템과 서버를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자체적인 역량을 확보해 나가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엄위상 LG전자 최고기술책임(CTO)부문 소프트웨어 공학연구소장은 “회사와 파트너사 간 공급망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은 물론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에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