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실무자 의견 대립, 은폐 시도는 아냐”
박홍근 “의혹제기 비판하더니 사실로 드러나"

정치권은 북한 무인기가 용상 대통령실 인근을 침범했다는 보도에 철저한 조사와 문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정치권은 북한 무인기가 용상 대통령실 인근을 침범했다는 보도에 철저한 조사와 문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서울 상공을 침투했던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 일부 진입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정치권에서는 국방부의 기존 입장을 뒤집은 발표를 비판했다.

5일 하태경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북한 무인기의 용산 대통령실 인근 침투 사실과 관련 국방부 내 문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문책이 국방부 내에서 필요하다"며 "이번에 한 번 확실히 좀 손을 좀 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국방부의 은폐 시도 의혹은 실무진의 의견대립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장비 한계로 무인기 식별이 어려웠던 점을 감안하면 실무진에서도 의견이 갈렸을 것이라는 얘기다. 

하 의원은 “국방부와 군이 (무인기의 용산 침투 사실을) 은폐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사실 기술·장비의 문제다. 열영상장비(TOD)는 열로 보는 것이니 조류하고 구분도 안된다. 직원들은 아직도 (무인기가 용산에) 안 왔다고 주장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야권에서는 철저한 조사와 문책을 촉구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안보 불안의 끝이 어디일지 우려스럽다"며 "(의혹제기를) 이적 행위라며 정쟁 행위로 치부하더니 결국 뒤늦게 사실로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진상을 철저히 밝혀 작전 실패, 경호 실패를 거짓말로 덮으려 한 국방부 장관과 경호처장 등을 엄중 문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합참은 지난달 29일 출입기자단 문자 메시지 공지로 “북한 무인기는 비행금지구역(P-73)을 침범하지 않았다”며 “사실이 아닌 근거 없는 이야기에 강한 유감”을 표했다.

당시 야당에서 무인기가 P-73을 통과했을 확률이 높다고 주장했는데 이에 대한 반박이었다. 이후 조선일보가 무인기의 P-73 침범을 확인했다고 보도했고, 군에서는 스치고 지나간 수준이라고 답변했다.
 

키워드
#북한 #무인기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