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운용, 퇴직연금시장 전망자료 발간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퇴직연금 시장이 오는 2032년 86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22일 내놓은 퇴직연금시장 전망 자료에서 작년 말 336조원 규모였던 퇴직연금 시장이 2032년 860조원 규모로 약 2.6배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도별로는 확정급여형(DB)이 192조원에서 398조원으로, 확정기여형(DC)이 86조원에서 222조원으로, 개인형퇴직연금(IRP)은 58조원에서 239조원으로 각각 규모를 키울 것으로 분석됐다. 주목할 점은 DB형(2.1배)과 DC형(2.6배)에 비해 IRP의 성장세(4.1배)가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김석진 한국투자신탁운용 OCIO컨설팅부장은 “향후 10년 동안 퇴직연금시장 성장의 주요인은 IRP”라며 “작년 말 전체 퇴직연금 중 17.2%를 구성하고 있는 IRP는 국내 인구구조 등의 영향을 받아 2032년 27.8%까지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IRP 증가에 영향을 미칠 국내 인구구조는 ‘고령화’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15세 이상 인구와 60세 이상 인구는 각각 4570만명과 1320만명인데, 2032년 해당 인구는 각각 4700만명과 183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김 부장은 “상대적으로 고연령층인 인구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DB형과 DC형 대비 이직자와 은퇴자 비중이 높은 IRP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운용방법별로는 실적배당형 상품이 38조원에서 243조원으로, 원리금보장상품이 298조원에서 617조원으로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지난해 4월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으로 300인 이상 기업의 DB형 퇴직연금 내 적립금운용계획서(IPS) 도입이 의무화되면서 DB형 퇴직연금 운영 기업들의 실적배당형 상품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현대차증권, 한국연금투자자문과 IPS 컨설팅 위한 MOU
- 신한투자증권, 3월 말까지 IRP·연금저축 이벤트 진행
- KB국민은행,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이벤트 실시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우수사업자 선정 기념 사회공헌활동 시행
- 삼성증권, 내년 3월말까지 퇴직연금DC 계좌 신규 개설 고객에 커피 기프티콘 제공
- 쌍용건설, UAE에 1.5조원 규모 초호화 호텔 완공...수영장만 94개
- 한투운용 “러시아 ETF, 투자자 보호 위해 상장폐지 효력 발생 미뤄”
- 한국투자신탁운용, 신흥국 ETF 3종 개인 순매수 200억 돌파
- 한투운용,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개인 순매수 100억 돌파
- 한투운용, 새 이름 단 'ACE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 한투운용,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채권혼합형중 수익률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