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40대 취업자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줄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40대 취업자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줄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의 허리인 40대 남성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40대 취업자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줄었다.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1000명 감소를 시작으로 8월 8000명, 9월 1만7000명, 10월 1만1000명, 11월 6000명, 12월 5만7000명씩 감소했다.

올해는 1월 6만3000명, 2월 7만7000명, 3월 6만3000명, 4월 2만2000명씩 줄면서 감소 폭이 더 커졌다. 이 기간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가 꾸준히 감소한 연령대는 40대가 유일했다.

30대, 50대, 60대 이상의 취업자는 늘었다. 20대는 지난해 10월까지 증가하다가 11월부터 감소세로 전환했다. 전체 취업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성별로 살펴보면 직장을 잃은 40대 대부분은 남성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감소 흐름이 시작된 지난해 7월 이후, 여성 취업자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남성 취업자는 계속해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 같은 흐름은 반도체 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에 따른 제조업 불황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관세청에 따르면 전체 수출액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감소세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만7000명 줄었다. 이는 11만명을 기록한 2020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든 수치다. 이 기간 40대 제조업 취업자는 1만2000명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