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 2843만2000명, 반등 한달 만에 다시 둔화
청년층 취업자 6개월 연속·40대 취업자 10개월 연속 감소세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으나 청년층 취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으나 청년층 취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5만4000명 증가했으나 청년층과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세를 나타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3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만4000명 늘었다. 이는 올 3월 취업자 수 증가폭(46만9000명)보다 적지만 2월 증가폭(31만2000명)보다 많은 수준이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지난해 6월부터 9개월 연속 둔화하다가 올 3월, 10개월 만에 반등한 뒤 지난달 다시 둔화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취업자가 44만2000명 늘었고 60대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8만8000명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3만7000명 줄어 6개월 연속, 40대 취업자는 2만2000명 줄어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청년층 취업자는 2021년 2월(-14만2000명) 이후 2년2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가 9만7000명 감소해 4개월 연속 줄었다. 이는 2020년 12월(11만명) 이후 28개월 만에 기록한 최대 감소 폭이다. 숙박·음식점업(17만1000명)과 보건복지업(14만8000명), 전문과학기술업(10만명)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올라 1982년 7월 통계 작성 이래 4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다만 청년층 고용률은 46.0%로 0.6%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 수는 80만4000명으로 5만9000명 줄어 2008년 4월(79만1000명) 이후 4월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실업률도 2.8%로 0.2%포인트 내려 1999년 6월 기준 변경 이후 4월 기준 최저치를 나타냈다. 청년층 실업률(6.4%)은 1.0%포인트 내려 마찬가지로 기준 변경 이후 최저였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13만5000명으로 15만6000명 줄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외부 활동과 돌봄 수요 증가로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됐으나 수출 감소로 취업자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수출 감소 부분이 회복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제조업 등 부문이 고용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