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소비 20·40 보다 매출액 증가율 크게 앞서

KB국민카드가 시니어 연령층을 중심으로 신용 및 체크카드 약 2000만명 회원의 온오프라인 주요 업종별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결과 시니어층이 20·40세대 보다 매출액 증가율 크게 앞섰다고 밝혔다. (사진=KB국민카드제공)
KB국민카드가 시니어 연령층을 중심으로 신용 및 체크카드 약 2000만명 회원의 온오프라인 주요 업종별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결과 시니어층이 20·40세대 보다 매출액 증가율 크게 앞섰다고 밝혔다. (사진=KB국민카드제공)

[서울와이어 최찬우 기자] 시니어층이 20·40세대 보다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 및 배달앱 에서 더 많은 소비를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카드가 21일 시니어 연령층을 중심으로 신용 및 체크카드 약 2000만명 회원의 온·오프라인 주요 업종별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주요 업종 및 온라인과 배달앱 업종에서 50세 이상 시니어의 2021년 대비 지난해 매출액 증가율은 17%로 20~40세의 11% 대비 6%포인트 높았다.

특히 65~69세의 매출액 증가율은 23%, 70세 이상은 25%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매출 증가가 높았다.

KB국민카드가 신용 및 체크카드 약 2000만명 회원의 온오프라인 주요 업종별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결과 시니어층이 모든 주요 업종에서 가장 높은 매출액 증감률을 보이고 있다. (사진=KB국민카드 제공)
KB국민카드가 신용 및 체크카드 약 2000만명 회원의 온오프라인 주요 업종별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결과 시니어층이 모든 주요 업종에서 가장 높은 매출액 증감률을 보이고 있다. (사진=KB국민카드 제공)

50세 이상에서 온라인쇼핑몰 매출액 증가율은 38%, 배달앱은 37% 증가로 20·40세대 대비 증가율이 각각 25%포인트, 30%포인트 높게 나타나 시니어 세대가 온라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매출액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쇼핑몰에서 시니어 세대의 영향력도 커져 50세 이상의 온라인쇼핑몰과 배달앱의 매출액 비중은 2022년 21%로 2021년 대비 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20·40세대는 3%포인트 감소했다.

여가활동 관련 업종과 성형외과, 피부관리실과 같은 외모 관리 부분에 대한 투자도 시니어가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의 피부관리실 업종의 지난해 매출액은 2021년 대비 14% 증가했다. 또 여가활동 관련 업종 중 콘서트장과 같은 문화관람 업종의 2021년 대비 2022년 연령대별 매출액 증가율도 50세 미만은 84%, 50세 이상은 137% 증가해 시니어 연령대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기관리에 철저하고 문화·레저를 즐기며 디지털 환경을 수용해 온·오프라인 주요 업종에서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액티브·스마트 시니어가 소비시장의 큰손으로 부각되며 영향력 또한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분석대상 전 업종에 걸쳐 시니어 세대 내에서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매출액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였다”며 “이러한 특징을 활용해 관련 업종 등에서 향후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데 분석 자료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회사측은 “아직 매출액 비중은 20·40 세대 대비 낮지만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에도 액티브 시니어의 세부 업종별 소비 동향 분석을 통해 관련 가맹점과 기업들에게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