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연금제도 인식조사' 리포트 발간

[서울와이어 이호재 기자] MZ세대는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영제도) 도입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디폴트옵션 운용 희망상품으로는 원리금이 보장되는 중위험 상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은 MZ세대를 대상으로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등 달라지는 연금 제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한 'MZ세대 연금제도 인식조사'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설문은 키움운용의 MZ세대 연금레터 '연금술사', 매일경제, 경제 뉴스레터 '어피티'가 공동으로 지난 4월 25일부터 5월 1일까지 진행했다. 총 3179명이 참여했으며, 리포트는 20~30대 2778명의 응답을 분석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도입에 대해 응답자의 과반이 넘는 59.6%가 모른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설명을 들을 기회가 없었다’(63.0%)는 응답이 가장 많아 디폴트옵션 도입 정보가 잘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폴트옵션 운용 희망 상품으로는 ‘원리금보장형(정기예금 등)+실적배당형(펀드)으로 구성된 상품’을 주로 꼽아 저위험 상품이나 원리금보장형이 포함된 중위험 상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퇴직연금 최근 5년 평균 수익률(1.96%)에 대해 응답자의 70.2%가 ‘낮은 수준’이라고 생각하며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해 실적배당형 투자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1.8%에 달했다.

퇴직연금, 개인연금 투자 대상으로 가장 관심 있는 자산은 상장지수펀드(ETF)가 52.0%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해 적극적인 사적연금 운용으로 노후자금을 마련하고자 하는 성향이 드러났다.
MZ세대는 또한 국민연금 개혁안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에 대해 반대가 53.6%로 찬성(24.3%)의 두 배 이상으로 많았다. 특히 근로소득자 반대 비율이 54.6%로 비근로소득자(47.3%)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급개시 연령 상향’에 대해서는 찬성한다(46.3%), 반대한다(40.8%), 잘 모르겠다(12.9%)로 찬성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김혜나 키움투자자산운용 팀장은 “2030세대는 연금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운용을 더 적극적으로 투자해 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니즈를 반영해 향후 보다 실적배당형 상품에 중점을 둔 연금 투자 정보 및 맞춤형 포트폴리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