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금융감독원 제공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서울와이어 박동인 기자] 앞으로 ‘종목’ 중심의 불매도 조사가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개편되는 등 글로벌 투자회사(IB)의 불법공매도 감시가 강화되고 부서 단위로 개편된 특별조사단이 출범된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공매도 거래 상위 글로벌 IB를 대상으로 2021년 5월 공매도 부분재개 이후 거래에 대한 전수 조사에 나선다. 그간 '안 걸리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자행된 관행적 불법 행위에 대해 철저한 전수조사로 고의적 무차입 공매도를 발본색원한다는 취지다.

먼저 금감원은 국내 공매도 거래 상위 글로벌 IB를 대상으로 공매도 부분재개 이후 거래에 대한 조사를 기존 종목 중심에서 기관 중심으로 개편하고, 국내 증권사의 공매도 주문 수탁의무 이행 여부에 대해 점검한다. 특히 공매도주문 수탁 프로세스와 불법공매도 주문 인지 가능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여기에 글로벌 IB에 대한 불법공매도 조사 과정에서 실질 투자주체인 최종 투자자의 공매도 악용 개연성도 면밀히 점검한다. 악재성 정보공개 전 대량 공매도와 개인투자자 등을 통해 제기된 주가 하락 목적의 시세조종성 공매도 혐의 등이 포착된 경우 신속히 조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금감원 내 조사경력자, 영어능통자, IT 전문가 위주로 1개팀, 2개반으로 구성된 특별조사단도 출범한다. 기존 8명 팀 단위 조직을 20명 규모의 부서 단위로 확대 개편해 글로벌 IB 조사와 공매도사건을 분담 조사한다. 특별조사단은 내달 6일에 출범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공매도 특별조사단 출범과 신속한 조사착수로 조기에 조사결과를 도출하고 불법공매도를 원천 차단하겠다”며 “해외 감독당국(홍콩 SFC, 싱가포르 MAS 등)과 협업해 국제공조조사를 실시하고 외국인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현지 간담회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금융감독원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