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회 이상 유찰된 아파트 새 주인 찾아 낙찰률은 상승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80.1%…경매지표 회복 더딜 것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부동산시장 한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내집마련 방법으로 유용했던 아파트 경매시장마저 얼어붙는 모습이다.
9일 경매·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215건으로 이 가운데 64건(29.8%)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전월(28.5%)보다 소폭 올랐는데 2회 이상 유찰된 아파트가 새 주인을 찾으면서 상승했다.
반면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80.1%로 전월(80.7%)보다 0.6%포인트 떨어지며 2개월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다. 감정가 10억원짜리 아파트가 8억원 수준에 낙찰됐다는 의미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월(5.5명)보다 0.6명 늘어난 6.1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가운데 응찰자가 가장 많이 몰린 물건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아크로리버파크로 27명이 응찰했다. 해당 아파트는 2016년 준공된 1612가구 규모 대단지로 이번 경매에서 감정가 42억원에 낙찰가는 34억3560만원을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2233건으로 이 중 862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전월(37.8%)보다 0.8%포인트 오른 38.6%, 낙찰가율은 전월(80.8%) 대비 0.9%포인트 상승한 81.7%를 기록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7.0명으로 전월(6.0명)보다 1.0명 증가했다.
경기 아파트 낙찰률은 42.1%로 전월(43.3%)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낙찰가율은 84.3%로 전월(82.1%) 대비 2.2%포인트 상승했다. 자금 조달·이자 부담이 덜한 저가 아파트 위주로 많은 응찰자가 몰리는 모습이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전월(36.7%) 대비 6.6%포인트 상승한 43.3%를 기록해 1년6개월 만에 처음으로 40% 선을 넘겼다. 낙찰가율은 전월(81.1%) 대비 0.5%포인트 하락한 80.6%를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광주가 낙찰가율 87.6%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주현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지난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경매지표는 상반기보다 다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해 아파트 경매물건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신축이나 역세권 아파트 경매에서 높은 경쟁률이 나타났지만 입찰자들의 보수적인 가격 산정 기조가 이어지면서 낙찰가율은 하향세를 그렸다”며 “이달 말 예정된 특례보금자리론 종료 등에 따른 매수세 위축으로 한동안 경매지표 회복은 더딜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동부건설, 2024년 수주 목표 달성 및 안전 기원 산행 실시
- 백기 든 태영그룹, 890억원 태영건설에 투입… 채권단 반응은?
- [기자수첩] 김포시 서울 편입, 과연 옳은 정책인가?
- 대통령실 압박까지 받은 태영 오너일가, 뼈깎는 자구안 내놓을까?
- 서울 아파트 매물 7만5000채… 집값 '엄동설한' 닥쳤다
- '반도체 한파'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익 2.8조… 전년비 35%↓
- 최상목 태영 직격 "부채의존 경영, 공적자금 투입 없다"
- '제2 둔촌주공' 우려… 대조1구역 공사중단에 현대건설 '멘붕'
- 윤세영 "필요하면 TY홀딩스·SBS 주식담보로 태영건설 살리겠다"
- 티웨이항공, 펫팸족 위한 서비스로 작년 반려동물 3만3000마리 수송
- 한화 건설부문, 통합관제시스템 활용해 안전보건 모니터링 강화
- 롯데건설, 현장 중심 안전경영 본격화
- 쌍용건설, 아이티 태양광사업 수주로 중남미 첫 진출
- 한신공영, 양주 덕계동 개발사업 750억 PF 실행 성공
- 코레일, '대국민 서비스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SH공사, '시민이 선호하는 아파트' 매입임대 공급 제안
- 아직도 해결안된 '미분양 공포'… "물량 해소 시급하다"
- 정부 "30년 넘는 주택 재건축때 안전진단 면제" … 시장활성화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