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산업·무역·금융 중심 경제적 타격 우려

미국의 경제연구기관 불룸버그 이코노믹스가 분석한 결과 중국이 대만을 침공했을 경우 한국은 GDP의 23.3% 감소라는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측됐다.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경제연구기관 불룸버그 이코노믹스가 분석한 결과 중국이 대만을 침공했을 경우 한국은 GDP의 23.3% 감소라는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측됐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미국의 경제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가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한국이 두 번째로 큰 경제적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지난 9일(현지시간) 대만의 지정학적 위기 격화와 관련 전쟁이 발발했을 때와 전쟁 없이 중국이 대만 봉쇄에 나선 경우 등 2개 시나리오로 나눠 경제적 영향을 각각 분석했다. 

우선 블룸버그는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고 미국이 개입하는 전쟁 발발 시나리오에서 대만이 입는 경제적 피해는 GDP의 40%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 경우 중국이 입는 경제적 피해는 GDP의 16.7%다.

미국 등 주요 무역 상대국과의 관계 단절과 첨단 반도체 제한 등이 고려됐다. 미국도 애플 등 주요 기업들이 중국과 대만의 공급망 의존도에 따라 경제적 타격을 피하진 못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블룸버그는 전쟁 발발시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국가들이 입을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봤다. 한국의 GDP는 23.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도체산업과 무역 및 금융 충격 측면에서 분석된 것으로 전쟁 당사국인 중국보다 경제적 타격이 클 수 있다는 경고다. 

중국이 대만 봉쇄에 나서는 시나리오에선 경제적 피해는 상대적으로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의 경우 GDP 12.2%가 줄고 중국을 비롯한 미국 등 전 세계는 첫해 GDP가 각각 8.9%, 3.3%, 5% 감소할 것으로 블룸버그는 예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