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연 수입 시 중국 상무부 허가 절차 등 거쳐야
핵심광물 높은 의존도, 배터리업계 타격 불가피
공급망 다변화·사전재고 확보 대비책 마련 절실

중국이 이차전지 핵심 소재의 음극재에 들어가는 흑연 수출 통제를 예고했다. 이에 국내 배터리업계의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1단계 공장에서 자동화 로봇이 음극재를 제조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퓨처엠 제공
중국이 이차전지 핵심 소재의 음극재에 들어가는 흑연 수출 통제를 예고했다. 이에 국내 배터리업계의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1단계 공장에서 자동화 로봇이 음극재를 제조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퓨처엠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중국이 최근 미국의 추가적인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내놓자 핵심 광물 자원 무기화로 맞불을 놨다. 

실제 중국 정부는 12월1일부터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음극재에 들어가는 흑연 수출 통제에 들어갈 예정이서 우리나라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정부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포위망 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반도체 소재 핵심 광물인 갈륨과 게르마늄에 이어 흑연도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는 수출을 할 수 없도록 했다. 

흑연은 스마트폰과 전기차 베터리 등 이차전지에 들어가는 핵심 원료다. 지난해 중국에서 90% 넘는 흑연을 수입해 온 우리나라 입장에선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수출 통제 조치를 12월부터 적용하겠다고 예고했다. 업계에선 전면 수출 금지보다 단계가 낮은 통제라는 점에서 안도하는 분위기지만, 수입 기간이 지연될 수 있는 만큼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당장은 수입처 다변화 등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중국 외 국가 기업과 장기 계약을 통해 흑연 공급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등은 호주, 캐나다, 칠레 등의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는 등 중국의 핵심 광물 의존도를 낮춰갈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자원 무기화가 노골화되는 것에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특정국가에 대한 핵심 광물 수입 의존도를 대폭 줄여갈 필요가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정부 역시 제3국 광산과의 장기공급계약 이행 등을 전방위로 지원할 방침이다. 

기업들은 공급망 변화 이외에도 인조 흑연의 국산화 등으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극재를 양산하는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인조 흑연 국산화에 성공한 데 이어 북미에 인조 흑연 음극재 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흑연 수입 차질 등이 예상되는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가 직접적인 영향권”이라며 “미중 갈등 속 흑연 외 광물 등도 수출 통제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의존도가 높은 핵심 원재료에 대한 사전재고 확보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