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연 수입 시 중국 상무부 허가 절차 등 거쳐야
핵심광물 높은 의존도, 배터리업계 타격 불가피
공급망 다변화·사전재고 확보 대비책 마련 절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중국이 최근 미국의 추가적인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내놓자 핵심 광물 자원 무기화로 맞불을 놨다.
실제 중국 정부는 12월1일부터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음극재에 들어가는 흑연 수출 통제에 들어갈 예정이서 우리나라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정부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포위망 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반도체 소재 핵심 광물인 갈륨과 게르마늄에 이어 흑연도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는 수출을 할 수 없도록 했다.
흑연은 스마트폰과 전기차 베터리 등 이차전지에 들어가는 핵심 원료다. 지난해 중국에서 90% 넘는 흑연을 수입해 온 우리나라 입장에선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수출 통제 조치를 12월부터 적용하겠다고 예고했다. 업계에선 전면 수출 금지보다 단계가 낮은 통제라는 점에서 안도하는 분위기지만, 수입 기간이 지연될 수 있는 만큼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당장은 수입처 다변화 등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중국 외 국가 기업과 장기 계약을 통해 흑연 공급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등은 호주, 캐나다, 칠레 등의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는 등 중국의 핵심 광물 의존도를 낮춰갈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자원 무기화가 노골화되는 것에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특정국가에 대한 핵심 광물 수입 의존도를 대폭 줄여갈 필요가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정부 역시 제3국 광산과의 장기공급계약 이행 등을 전방위로 지원할 방침이다.
기업들은 공급망 변화 이외에도 인조 흑연의 국산화 등으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극재를 양산하는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인조 흑연 국산화에 성공한 데 이어 북미에 인조 흑연 음극재 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흑연 수입 차질 등이 예상되는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가 직접적인 영향권”이라며 “미중 갈등 속 흑연 외 광물 등도 수출 통제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의존도가 높은 핵심 원재료에 대한 사전재고 확보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내년 이차전지·車·조선 '맑음'..."국내 산업 제한적 회복세"
- "이스라엘 수입의존도 90% 품목 8개… 공급망 대비 필요"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반도체업계에 불똥… 삼성·SK 긴장
- LG화학, 아프리카 모로코에 LFP 양극재 공장… 중국 독점 깬다
- 시진핑, 한덕수 총리에 "한중 관계 중시 정책과 행동에 반영 바란다"
- 포스코퓨처엠, 3분기 영업익 371억원… 작년 동기比 54.6%↓
- 포스코홀딩스, 3분기 철강시황 악화 속 '약진'… 영업익 전년비 33%↑
- LG에너지솔루션, 3분기 영업익 7312억… 전년비 40%↑
- '실리콘 음극재' 투자 잇따라… 게임체인저 될까
- 포스코, 리튬생산·전기강판 공장 준공… "친환경차 시장 선도"
- "중국, 대만 침공시 한국 GDP '23%' 감소"...블룸버그 분석
- 미국, 동맹국에 "중국 반도체장비 AS 그만"… 제재 강도 높이는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