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영업·판매직 사원이 지난 10년 동안 40만명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울와이어DB
국내 영업·판매직 사원이 지난 10년 동안 40만명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국내 영업·판매직 사원이 지난 10년 동안 40만명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쇼핑을 통한 소비가 확대된 것이 일자리 변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판매 직원이 많은 유통가에서는 은행처럼 점포와 매장 직원이 지속 감소하는 대신 무인 계산대와 키오스크, 서빙 로봇 등이 근로자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29일 통계청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 중 판매 종사자는 262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6만명 줄었다.

이로써 2014년부터 9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판매 종사자는 10년 전인 2013년과 비교하면 45만3000명 줄었다.

판매 종사자는 의류·화장품·가전제품·가구·음식료품 등의 판매원을 비롯해 카운터 계산원·캐셔 등 매장 계산원, 자동차 영업사원, 보험설계사, 신용카드 모집인, 홍보 도우미 등 영업·판매직 취업자를 말한다.

판매 종사자 감소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첫해인 2020년을 제외하고 최근 10년간 전체 취업자가 매년 증가한 것과는 비교된다.

판매 종사자 감소 폭은 2019년 7000명 수준에서 2020년 13만3000명으로 대폭 커졌다. 2021년(-13만1000명)에도 감소 인원이 10만명을 넘었다.

판매 종사자가 많은 유통업계를 비롯해 전반적인 산업 구조가 온라인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적인 흐름에서 코로나 사태가 겹치면서 인력 감소가 가속화한 것이다.

반면 쿠팡 등 이커머스 확대 영향으로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017년 94조원에서 2018년 113조원, 2019년 137조원, 2020년 158조원 등으로 늘었다. 코로나 2년차인 2021년 190조원으로 급증하고서 2022년(210조원)에 200조원을 돌파했다.

온라인쇼핑의 지난해 1∼11월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207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