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업계, 조직적으로 정부에 민원 넣어
인·허가 내준 국토부는 슬그머니 말바꿔

택시업게의 강한 반발에 우티의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가 시작하기도 전에 중단됐다. 사진=서울와이어 DB
택시업게의 강한 반발에 우티의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가 시작하기도 전에 중단됐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우티의 프리미엄 택시서비스 ‘블랙’이 30일 서비스를 종료한다. 택시면허가 없이도 운행이 가능한 우티는 택시업계의 강한 반발로 공식 서비스 문턱을 넘지 못했다.

티맵모빌리티와 우버의 모빌리티 플랫폼 우티(UT)가 내놓은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 ‘블랙’의 운영이 중단됐다. 택시업계의 예상보다 강한 반발 때문이다.

이날 택시업계에 따르면 우티는 내부 검토 끝에 블랙 시범 운영 서비스를 1월 말로 중단하기로 했다. 우티는 지난해 12월 초부터 고급 세단과 전문 수행 기사를 활용한 블랙 서비스를 시범 운영해 왔다.

우티 블랙이 겨냥한 시장은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의전이 필요한 기업 고객 등 특수 시장이었다. 이는 고급 택시 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를 받았지만 두 달도 안돼서 좌초됐다. 

택시업계에서 우티 블랙 서비스에 대해 우려를 제기한 부분은 우티가 서비스를 위해 택시 스타트업 타입1인 ‘레인포컴퍼니’와 협업했다는 점이었다. 

타입1에 해당하는 업체는 택시 면허 없이 운행이 가능하다. 대신 승객 범위가 제한된다. 레인포컴퍼니는 법인용 의전차량만 운영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택시 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우티가 레인포컴퍼니에 플랫폼을 개방하는 것을 허가했다. 

여기서 택시업계는 우티 블랙 서비스가 일반 승객도 이용할 가능성이 있어 크게 반발했다. 택시 단체들은 국토부와 우티에 항의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과 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등 택시 단체는 지난 17일부터 조를 편성해 국토부와 우티 등에 하루 수백통의 민원 전화를 넣으며 우티의 블랙 서비스 중단을 조직적으로 압박했다.

택시업계의 반발이 본격화하자 플랫폼 개방을 허용했던 국토부가 슬그머니 말을 바꿨다. 우티에 타입1 사업자인 레인포컴퍼니가 일반 승객을 태울 수 없도록 지침을 내렸다.

법률상 운송사업자는 승객을 골라 태울 수 없다. 이에 국토부가 사실상 우티에 블랙 서비스를 중단하란 것과 마찬가지였다.

이에 레인포컴퍼니가 “블랙 호출엔 10대 미만의 차량만 공급돼 택시업계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반박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운송업계에선 정부가 지나치게 택시업계의 눈치를 본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타입1의 취지 자체가 택시 혁신인데 정부가 스스로 이를 막아서고 있다”며 “타다·우티 블랙 사태와 같은 일이 반복된다면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붐이 일고 있는 운송혁신에서 크게 뒤처지게 될 것”이라고 명했다.

우티 관계자는 “우티 블랙은 일반 승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가 아니라 외국인과 의전용 모빌리티시장을 보고 기획한 것인데 서비스를 제대로 하기도 전에 접게 만들었다”며 “정부는 혁신 취지를 제대로 듣지도 않고 택시업계의 우려가 크다는 점을 전달했다. 이에 중단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