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李 각각 청년·중산층 타깃 '현물ETF 도입' 한 목소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나란히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허용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나란히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허용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나란히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허용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에 다음 달 대선에서 누가 승리하더라도 현물 ETF 허용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는 지난 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가상자산 현물 ETF 제도화를 공약으로 발표했다. 청년층 표심잡기에 나선 것으로  ETF 도입을 통한 자산 형성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도 가상자산 관련 공약에 현물 ETF 허용을 포함시켰다. 그는 '증산층 자산 증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정부기관의 가상자산 투자 허용과 현물 ETF 제도화를 약속했다. 

공약이 현실화될 경우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가 국내 증시에 상장돼 직접 투자하지 않고 주식처럼 증권계좌로 손쉽게 거래할 수 있다. 

가상자산에 대한 문호가 개방되는 것으로 투자 활성화 등 파급 효과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미국, 홍콩, 영국 등에서는 지난해 가상자산 현물 ETF를 승인했다.

국내에서는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이 지체되고 있다. 그간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위험이 금융 시스템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 등으로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오면서다. 

다만 유력 대선 후보들이 가상자산 관련 대표 공약으로 현물 ETF 도입을 앞다퉈 발표하면서 관련 정책의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 3월 당정은 시장 활성화를 위한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ETF 도입은 가상자산의 신뢰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기관 투자자, 퇴직연금 등 대규모 자금의 유입으로 유동성이 강화돼 시장 활성화와 제도권 편입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외에도 두 후보 모두 가상자산산업을 규제 중심에서 육성으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민주당은 이와 관련 디지털자산위원회를 설치해 스테이블코인, 대체불가토큰(NFT), 토큰증권(STO) 등 가상자산 전반의 제도 정비와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의힘의 경우 현물 ETF 허용뿐 아니라 ▲1거래소 1은행 원칙 폐기 ▲기업·기관투자가의 가상자산 거래 제도화 ▲STO 법제화 ▲스테이블코인 규율 ▲디지털자산육성기본법 제정 등 7대 공약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