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합회는 한국은행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금융 현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23일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채 초청 은행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간담회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아래줄 왼쪽부터) 강태영 농협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황병우 아이엠뱅크 은행장,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가운데줄 왼쪽부터)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 이환주 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백종일 전북은행장, 신학기 수협은행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고병일 광주은행장,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윗줄 왼쪽부터) 정진완 우리은행장, 김태한 경남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은행장, 이희수 제주은행장. 사진=은행연합회
은행연합회는 한국은행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금융 현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23일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채 초청 은행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간담회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아래줄 왼쪽부터) 강태영 농협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황병우 아이엠뱅크 은행장,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가운데줄 왼쪽부터)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 이환주 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백종일 전북은행장, 신학기 수협은행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고병일 광주은행장,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윗줄 왼쪽부터) 정진완 우리은행장, 김태한 경남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은행장, 이희수 제주은행장. 사진=은행연합회

[서울와이어 김민수 기자] 한국은행과 은행권이 가계부채 안정 관리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은행연합회는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한국은행 총재 초청 은행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한국은행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금융 현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정례 이사회 이후 만찬을 겸해 열렸다.

이날 간담회에는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한국씨티은행, 수협은행, iM뱅크,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18개 회원 은행의 행장 및 대표가 모두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가계부채 상황을 설명하며, 금리 인하 기조하에서 주택시장 및 가계대출 관련 리스크가 재확대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가계부채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간담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가계부채 문제는) 말 한마디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한 이날 회의에서는 디지털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한 은행권의 전략, 무위험지표금리(KOFR) 활성화, 대출채권 담보수취 제도, 외환시장 구조개선, 국제금융전문표준(ISO 20022) 도입 등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주요사업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은행연합회는 “이날 간담회를 통해 급변하는 대내외 경제 환경과 지정학적 갈등, 내수 회복 지연 등 리스크 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가계부채 관리, 실물경제 지원, 금융시장 안정 등 은행산업의 주요 현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설명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대내외 리스크가 중첩되고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은행권도 한국은행과 함께 우리 경제와 국민 삶의 안정을 위해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대응하고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한은의 정책에 적극 협력하고, 경제의 혈맥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창용 총재는 “은행권 현안을 포함한 주요 금융·경제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살펴볼 것이며, 앞으로도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