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비보다 많은 지출 의혹 관련 "추징금·채무 갚느라 생긴 일"
출판기념회 수입 공개 요구엔 “정치 전체 신뢰 해칠 수 있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 이틀째인 25일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공세를 펼치는 야당을 향해  “제2의 논두렁 시계 프레임”이라고 반발했다. 사진=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 이틀째인 25일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공세를 펼치는 야당을 향해  “제2의 논두렁 시계 프레임”이라고 반발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제2의 논두렁 시계 프레임”이라며 반박했다. 

국회 인사청문회 이틀째인 25일 김 후보자는 “야당 의원이 수상한 자금이라고 표현한 대부분은 과거 표적 사정에서 비롯됐다”며 “결론적으로 저는 내야 할 것은 다 냈고 털릴 건 다 털렸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야당은 김 후보자의 지출 규모가 의원 세비보다 크다며 이례적인 자금 흐름을 문제 삼았다. 이에 김 후보자는 “출판기념회 수익과 축의금·조의금 등 다양한 수입이 있었고 이들 대부분은 추징금 납부나 사적 채무 상환 등에 쓰였다”고 해명했다.

또한 김 후보자는 “20여년에 걸쳐 발생한 추징금과 증여세는 세비뿐 아니라 사적으로 일으킨 채무로도 감당했다”며 “지인들에게 투명하게 빌린 돈이었고 모두 상환을 마쳤다”고 덧붙였다.  

청문회 과정에서 검찰 내 조직인 ‘우검회’가 자신의 표적 사정에 연루돼 있다는 의혹도 거론했다. 김 후보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속했던 ‘우검회’라는 일종의 사조직이 관련됐다는 사실이 청문회 이후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출판기념회 수입 내역을 요구하는 야당의 주장에는 “자료를 제출할 수도 있지만 그에 따른 정치 신인의 부담과 정치 전반의 신뢰 훼손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국민의힘 의원과 대표들 역시 출판기념회를 했으나 이를 재산 신고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다”고 맞받아쳤다.  

특히 그는 “공개된 자료만으로 6억원을 현금으로 모아 장롱에 쌓아둔 것처럼 보는 건 무리”라며 “일부에서는 제2의 논두렁 시계로 몰아가는 프레임을 만들고 야당 현수막에 그대로 반영되며 청문회가 무색해졌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이 무한 입증을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충분히 소명된 부분까지 인정하지 않는 건 조작에 가깝다. 조작질이란 표현 외에는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