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T
사진=SKT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SK텔레콤은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에 5G·LTE 기반 와이파이 7(WiFi-7) 기술을 적용한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품질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버스 공공와이파이 사업’의 일환으로, 기존 공공 와이파이 시스템에 5G·LTE 백홀 기반 와이파이 7 장비(AP)를 적용해 서비스 품질을 고도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SKT는 5월부터 서울과 경기 지역의 간선·지선·광역 시내버스 총 100대에 와이파이 7을 시범 도입했으며, 이 서비스는 8월 말까지 운영된다. 중간 점검 결과,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기존 와이파이 6·6E 대비 1.5배 이상 개선돼 노선별로 715~1,003Mbps를 기록했다. 또한 단말당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와이파이 7이 36만5211MB로, 기존 와이파이 6·6E의 27만2979MB보다 약 30% 증가했다.

와이파이 7은 기존 대비 전송 속도와 처리 용량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2.4GHz, 5GHz, 6GHz의 다중 주파수 대역을 동시 지원하며, 채널폭은 최대 320MHz로 확장됐다. 또한 4,09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지원해 더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링크 동작(MLO) 기술도 도입돼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병렬로 처리된다.

보안 기능도 강화됐다. ‘OWE(Open Wireless Encryption)’ 기술이 무료 공공 와이파이 영역에 적용돼 이용자 데이터 암호화가 가능하며, ‘WPA2/3 Enterprise’ 기술은 기관·기업 대상 보안 대역에 적용된다.

SKT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 와이파이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김일영 SKT Connectivity사업본부장은 “5G·LTE 상용망 기반 와이파이 7을 도입해 국민들이 더 나은 와이파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