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5일부터 9만6천곳으로 확대

[서울와이어=박동인 기자] 오는 10월 25일부터 실손의료보험 청구 전산화 서비스 ‘실손24’가 의원급 의료기관과 약국까지 확대된다. 작년 10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1단계 전산화를 시행한 데 이어, 2단계에서는 전국 약 9만6000곳이 새롭게 참여 대상에 포함된다.
8일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손보협회 등 유관기관과 점검회의를 열고 2단계 확대 시행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총 6757개 요양기관(병원 1045곳, 보건소 3564곳, 의원 861곳, 약국 1287곳)이 전산화에 참여하고 있으며, 1단계 참여율은 약 59.1%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환자가 진료나 조제 후 직접 서류를 발급받아 보험사에 제출할 필요 없이, 의료기관이 진료비 영수증과 진단 관련 자료를 전산망을 통해 보험사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환자는 청구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보험사는 심사와 지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참여율 제고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지도 플랫폼과 연계해 참여 병원을 소비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미참여 기관에는 소비자가 직접 참여 요청을 보낼 수 있는 기능도 도입한다.
전자의무기록(EMR) 업체 및 의료기관에는 서버 설치비와 시스템 개발비, 유지보수비를 지원하고 참여 기관에는 인센티브 성격의 확산비도 제공한다.
오는 11일부터는 대국민 홍보도 본격화한다. ‘실손24’ 이용 시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지급하는 이벤트가 진행되며, 정책금융기관의 보증료와 화재보험료 감면 혜택도 제공된다. 의료행정과의 연계 방안도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추진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낮은 참여율과 의료계의 부담 우려가 제도 확산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의원·약국 참여율은 2.2%에 그쳐 제도 안착을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제도 확대가 실제 이용자의 편의성 제고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의료계와의 지속적인 협의와 설득 과정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의료계를 포함하는 법정 회의체인 ‘실손전산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활성화 과제를 논의하고 있다며 국민과 의료기관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