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 러 정상, 66년만에 한자리..."反서방 결속"
트럼프, "열병식, 미국에 대한 도전 아냐" 밝혀
우원식 국회의장 참석...김정은 만남 여부 주목

(왼쪽부터)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베이징 교도 연합뉴스
(왼쪽부터)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베이징 교도 연합뉴스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중국의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에 중국과 북한, 러시아 정상이 66년만에 한자리에 모였다.

3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현지시간)께 베이징 톈안먼 앞에서 시작된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톈안먼 망루(성루)에 등장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들 3인을 비롯해 26개국 정상이 참석했다. 

북중러 정상은 천안문 망루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나란히 함께 걸으며 담소하는 등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망루에 올라간 뒤에도 시 주석의 뒤를 이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차례로 입장하는 '역사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이와 관련, 3일 타스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의 열병식을 미국에 대한 도전으로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외국 침략자들로부터 자유를 쟁취하는 과정에서 미국이 중국에 제공했던 지원에 대해 언급할지 주목한다고 밝혔다.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 소셜에 "많은 미국인들이 중국의 승리와 영광을 위한 여정에서 목숨을 잃었다"며 "그들의 용기와 희생이 기려지고 기억되길 바라며, 푸틴과 김정은에게 안부를 전해 달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대표로 참석해 한-미 동맹을 중심으로 하며 대중 관계도 잘 관리하겠다는 정책 기조를 드러냈다. 우 의장은 방중을 위해 전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면서 “(김 위원장을) 만나게 되면 한반도의 평화 문제에 관해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외에 주요 서방 국가 지도자들이 열병식에 불참했다. 서방 언론은 중국이 열병식을 통해 서방 세계에 메시지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영국 가디언은 세 정상의 공동 등장이 인상적이라며 서방에 저항하는 국가 정상들 앞에서 첨단 무기를 선보였다고 전했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중국이 다시는 괴롭힘을 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라며 "중국이 세계의 중심 국가로 부상하는 것을 견제하려는 국가들과 대만의 공식적인 독립 움직임에 대한 경고"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