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부 공공의료 수요 ‘응급·심뇌혈관·소아응급’ 높아
- 남양주·양주 300병상 이상 혁신형 공공병원 추진 속도

[서울와이어=남상인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을 “공공재에 대한 도민의 기본권”이라며 신속 추진 의지를 재확인했다.
경기도는 18일 경기도청에서 ‘경기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김 지사는 “달달버스를 타고 양주·남양주를 찾았을 때 주민들의 공공의료 갈증을 절감했다”며 “공공의료원은 국방·치안·소방과 같은 공공재”라며 “비용·편익 논리로 예타 통과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8월 양주 옥정신도시와 남양주 백봉지구 공공의료원 예정부지를 직접 찾아 현장설명회를 연 바 있다. 김 지사는 “연세 아흔 가까운 할머니가 살아생전에 공공의료 혜택을 보게 해달라고 했다”며 “가능한 빨리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경기도는 남양주 호평동 백봉지구(3만 3800㎡)와 양주 옥정신도시(2만 6500㎡)에 각각 300병상 이상 규모의 공공의료원 설립을 추진 중이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중간보고에 따르면 지역 의료 수요 분석 결과 의정부권(의정부·양주·동두천·연천)과 남양주권(남양주·구리·양평·가평) 모두 응급의료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양주는 심뇌혈관센터, 남양주는 소아응급센터 수요가 뒤를 이었다.
보고회에서는 ▲지역 기초현황 분석 ▲주민 설문조사 ▲병상수요 추정 ▲진료기능 설정 ▲BTL(임대형 민간투자사업) 방안 ▲예타 신속 추진 전략 등이 논의됐다.
경기도는 착수 이후 보건복지부·국립중앙의료원을 찾아 ▲남양주·양주 공공의료원 설립 요청 ▲제3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 반영 ▲예타 면제 등을 건의했다.
도는 연구용역 결과를 반영해 내년 2월 최종보고를 마친 뒤 보건복지부와 예타 협의에 착수할 예정이며, ‘의료+돌봄 통합형 혁신 공공병원’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보고회에는 최민희 국회의원, 경기도의회 박재용·정경자 의원, 남양주시·양주시 관계자, 공공의료·의료원 관계자, 보건의료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