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학원연합회 ‘민주당 당원 모집’ 문자 논란 이어
- 초등학교서 특정 정당 공동주최 토론회 열린 사실도 드러나

[서울와이어=남상인 기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교육을 명분으로 한 조직적 정치활동이 잇따라 드러나면서 교육 현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20일 논평을 통해 “교육기관과 학교가 특정 정당의 전초기지로 전락하고 있다”며 강력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지난 7월, 수원시 학원연합회는 회원들에게 ‘민주당 당원 가입 사업’이라는 제목의 단체 문자를 발송하며 “2026년 지방선거에 학원장 대표를 시‧도의원 후보로 출마시키려 한다.

당원가입서를 많이 제출해야 공천을 받을 수 있다”고 독려한 사실이 지난 10월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났다. 상담원까지 동원돼 전화 권유가 이루어졌으며, 연합회 임원으로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수원시의원이 재직해 온 사실도 확인됐다.

김 의원은 수원교육지원청 학원자율정화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어 정치적 중립성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정화위원은 교육장이 위촉하며 활동보고와 여비 지급 등이 이뤄지는 교육행정 보조기구 성격을 가진 만큼, 해당 인물이 특정 정당의 당원 모집 활동에 관여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다.

학교 내 정치적 논란도 이어졌다. 유은혜 전 교육부장관이 공동대표로 있는 ‘경기교육이음포럼’은 지난 17일 수원시의 한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 토론회를 열었는데, 행사 포스터와 현수막에는 더불어민주당 당명과 지역 국회의원들의 이름이 공동주최자로 명시돼 있었다.

일부 언론과 학부모단체는 “사전 선거운동 의혹이 짙다”며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할 학교가 특정 정당의 행사장으로 활용됐다”고 비판했다.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교육단체가 정당의 조직 확장을 위한 하부조직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교육 현장이 정치적 활동의 무대로 변질되는 현실을 결코 묵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향후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적 조치와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교육만큼은 정치적 이용으로부터 지켜내야 한다”며 교육현장의 정치적 중립성 회복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