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안채영 기자] 서울에 사는 30대 4명 가운데 3명은 여전히 ‘내 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의 30대 무주택 가구가 53만가구에 육박하며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집값 급등과 대출 규제 강화, 늦어진 결혼·1인 가구 증가가 겹치면서 청년층의 내 집 마련 문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가구주 중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1년 사이 1만7000가구 이상 늘어난 수치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최고치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000여가구 수준에서 2018년 잠시 감소했지만,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다. 2021년 3000가구대였던 증가폭은 2022년 1만5000가구대로 확대됐고, 2023년과 지난해에는 1만7000가구대를 넘겼다.
반대로 집을 가진 30대 가구는 3년 연속 줄었다. 지난해 서울 30대 유주택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 대비 7893가구 감소했다.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2015년 23만7000가구에서 꾸준히 줄다가 2021년에 잠시 반등했지만, 2023년 ‘20만선’이 무너진 데 이어 지난해는 18만명대까지 내려앉았다. 무주택 가구가 유주택 가구보다 2.9배 많은, 역대 최대 격차가 벌어졌다.
주택 소유율도 역대 최저다. 지난해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25.8%로, 2015년 33.3%에서 8년 사이 7%포인트 넘게 떨어졌다. 2020년 30.9%, 2022년 29.3%로 내려온 뒤, 지난해 처음으로 20% 중반대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36.0%)과 비교하면 서울의 30대 주거 불안이 훨씬 심각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청년층의 ‘내 집 마련’ 열망은 여전히 높다. 토지주택연구원이 무주택 청년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 ‘전세자금 지원’(22.3%),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확대’(14.4%) 등이 꼽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