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음악.png
▲ 출처=유튜브
 
▷ 개론

'선율법' 이라는 법칙은 없습니다.

선율은 그야말로 음악의 얼굴이고 작곡가가 의도한 자신만의 정서이기 때문에 특별한 공식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자들의 입장에서는 분명히 좋고 나쁨을 구별할 수 있는 무언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작곡가 혹은 전문적으로 음악을 접하는 사람들은 음악이 탄생한 이래 그 무언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무한히 애를 썼습니다만 아쉽게도 그것에 대한 정답은 영원한 수수께끼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어느 정도의 단서는 찾았습니다.

청자들의 입장에서 좋게 느껴지는 선율은 분명히 '친숙한 멜로디'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옛날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지만 그 안에 신선하게 느껴지는 느낌이 포함된 선율을 말합니다.

좋은 느낌의 선율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서양음악이 제 모습을 갖춘 지 벌써 50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는데 똑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것들이 얼마나 뒤바뀔 수 있었겠습니까.

더군다나 대중음악의 선율은 더더욱 한정되어 있습니다.


▶ 들어가기

선율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몇몇 종류가 있습니다.

우선 그냥 무작정 선율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신이 나면 그냥 흥얼흥얼 있는 듯 없는 듯 멜로디를 중얼거리는 경우를 종종 경험했을 겁니다. 그냥 끝난다면 아무 것도 아닌 것이지만 이것을 악보로 옮겼을 때는 작곡이라는 엄청난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생각난 멜로디를 악보에 옮겨놓고 그 선율에 화성이나 리듬(국악은 장단 입니다) 등을 가미하면 완성된 곡으로 정리됩니다.

우리나라의 조상들은 그들처럼 떠돌아다니지는 않았지만 비슷한 방식으로 선율을 만들어냈습니다.

논일이며 밭일이며 뼈아픈 노동을 하며 그 애환과 시름을 잊기 위해 흥얼흥얼 신세한탄도 하고 가족들 흉도 보고 앞으로의 희망도 곁들여 가며 단순한 형태의 선율을 만들어낸 것이죠. 이것이 바로 유명한 ‘아리랑’, 민요의 탄생비밀입니다.

보통의 사람들이라면 그냥 흘려버릴 것이지만 작곡가들은 그것을 기록으로 남긴다는 분명한 차이를 지니고 있음이 다를 뿐이죠.

여러분도 하실 수 있습니다. 악보를 그릴 줄 모르신다고요? 괜찮습니다. 녹음기라는 훌륭한 문명의 이기를 가지고 있으니까요. 불현듯 무언가가 떠오르신다면 녹음단추를 누르고 그 녀석에게 중얼거리세요. 얼마 후면 훌륭한 곡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먼저 기본적인 화음의 진행을 먼저 만들고 그 위에 적당한 선율을 입히는 방법입니다.

현재의 많은 대중음악가들이 이 방식으로 곡을 만들고 있죠.

파헬벨의 케논으로 만들어진 수 많은 곡이 있습니다. 비틀즈의 Let It Be, 01OB의 이젠 안녕 이 곡들의 편곡과 화음진행은 같습니다.

▲ 비틀즈 Let it be l 출처=네이버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