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건축물 내진율 전년 6월 대비 0.5% 증가한 13.2%
기존 민간건축물 내진보강 위한 파격적인 지원 정책 필요

내신설계 기준에 만족하는 건물이 10%대에 그치고 있어 기존 민간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지우너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사진=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내신설계 기준에 만족하는 건물이 10%대에 그치고 있어 기존 민간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지우너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사진=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서울와이어 송수연 기자] 건축물 내진설계의 기준이 강화된 지 수년이 지났지만, 전국 건축물의 대다수가 여전히 지진의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허영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건축물 내진설계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으로 전국 건축물의 내진율은 2020년 6월 대비 0.5% 증가한 13.2%로 여전히 저조한 상황이다.

내진율이란 기존 시설물 중 내진설계 기준을 적용했거나 내진보강 등을 통해 내진성능이 확보된 시설물의 비율을 뜻한다. 전국의 공공건축물 내진율은 19.0%인데 반해 공공건축물 동수에 30배가 넘는 민간건축물의 내진율은 13.1%로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한편 광역자치단체별로 민간건축물 내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20.7%), 울산(18.9%), 서울(18.2%), 세종(18.1%)순이었다. 민간건축물 내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전남(7.1%), 경북(8.5%), 강원(8.7%), 경남(9.8%) 순이었다.

매년 나타나는 저조한 내진율의 원인은 현행 내진 설계 기준(2017.12)을 준수할 의무가 없는 기존 건축물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국토교통부 ‘건축법’에서는 기존 건축물 내진보강을 유도하기 위해 건축관계자의 요청에 따라 용적율을 최대 10%까지 완화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했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의거해 공공건축물은 ‘기존 공공건축물 내진보강 기본계획’에 따라 내진보강을 의무화하고, 민간건축물은 ‘지진안전 시설물 인증’을 통해 내진보강을 유도 중이다.

허영 의원은 “올해 우리나라에 발생 된 지진 횟수가 38회”라며 “기존 민간건축물의 내진성능 보강을 위한 파격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