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후변화협약서 협력하는 모습 보여
공동 선언,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지 미지수

미국과 중국이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공동선언을 발표해 양국 긴장이 완화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픽사베이
미국과 중국이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공동선언을 발표해 양국 긴장이 완화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김상혁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 화상 회담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한 후 두 정상이 얼굴을 맞대는 건 처음이다.

분위기는 여전히 냉랭하다. 전임 도널드 트럼프의 무역정책을 이어받은 조 바이든 대통령은 G7 공동성명서를 발표하며 신장 자치구, 홍콩 자치권, 대만해협 등을 거론했다. 우방과 연합전선을 구축해 중국을 압박하려는 의도다. 시진핑 주석은 내정간섭이라며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또한 10일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 대표는 1월 중국과 맺었던 1단계 무역 합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두 정상의 화상 회담이 양국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된다"라고 말하면서도 “정상 회담이 반드시 무역 부문 진전으로 이어지진 않는다”는 입장이다.

시진핑 주석도 제28차 APEC 최고경영자회의 기조 연설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냉전 시대의 대립이나 분열 시대로 돌아갈 수 없다. 돌아가서도 안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중국 압박 연합전선을 우회적인 비판한 것으로 추정된다.

팽팽한 기싸움이 이어지는 가운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는 기후 위기에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이 2035년까지 탄소제로화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고 중국은 2030년까지 석탄 소비를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겠다는 선언이다. 메탄가스 배출 감축과 해결을 위해 공동 연구 진행까지 합의가 이뤄졌다.

중국 기후 특사는 “이견보다 합의가 많았다. 공동 선언 발표는 양국 사이 협력만이 유일한 선택임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화상 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양국의 깜짝 공동 선언이 무역전쟁 종결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된다. 다만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1, 2위 국가로써 손을 잡았을 뿐 실타래처럼 얽힌 관계가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결국 이번 공동 선언이 양국 관계의 물꼬를 트는 계기였을지, 단순 기후 위기 대응이었을지는 화상 회담이 끝나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