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2050년 탄소중립 로드맵 공개
갯벌복원·재생에너지 확대 등 세부계획 마련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16일 해양수산분야의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정책 추진 방향을 담은 로드맵을 공개했다.
해양수산부는 2050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탄소중립(0)에서 한발 더 나가 마이너스(-) 324만톤(t)으로 설정하고 세부 계획을 마련했다.
이번 로드맵에는 해운과 수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 감축과 기존 화석연료를 파력·조력 등 해양에너지로 대체하는 내용을 담았다. 갯벌, 바다숲 등 블루카본(해안과 해양생태계에 흡수·저장된 탄소)을 활용해 탄소흡수원(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을 확충하는 방안도 세웠다.
해운 분야에서는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단계적으로 저탄소·무탄소 선박으로 전환해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30만7000톤까지 줄여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하이브리드 등 저탄소 선박 기술 고도화와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 선박 기술 상용화를 추진한다.
수산·어촌분야는 노후어선 교체와 에너지 고효율 장비 보급을 추진해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11만5000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해수부는 노후어선을 신조선으로 대체하고 어선과 어업분야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지원할 방침이다.
LNG·전기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어선 기술개발과 보급을 확대하고 에너지 고효율 장비를 양식장과 수산 가공시설 보급을 추진한다. 양식장과 국가 어항을 비롯한 유휴부지와 수역에는 태양광, 파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파력, 조력 등 해양에너지를 활용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229만7000톤 감축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