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기업·국유 연구기관 2곳 통폐합, 국영기업 탄생
미국 등 겨냥, 세계 희토류 공급망 장악 의도 노골화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중국이 전략 물자인 희토류 국유기업과 연구기관을 통합해 세계 최대 규모의 희토류 기업을 정식 출범했다.
23일 중국중앙(CCTV)방송에 따르면 중국희토그룹은 국무원의 비준을 받고 공식 통합회사로 탄생했다.
중앙정부 산하 국유기업인 중국희토그룹은 기존 대형 희토류 생산 국유기업 중국알루미늄그룹, 중국우쾅그룹, 간저우희토그룹 3곳과 국유 연구기관 2곳 등이 통폐합돼 만들어진 기업이다.
국유기업 관리 기구인 국유자산감독관리위가 가장 많은 31.21%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가 된다. 중국알루미늄그룹 등 3개 기업에서 각각 20.33%의 지분을 갖는다.
이처럼 중국은 광물자원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중국이 이번 국유기업을 합병해 ‘메가기업’으로 출범시킨 이유는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히 희토류는 스마트폰이나 전기차 배터리 등 각종 산업에 사용되는 핵심 물질이다. 중국이 희토류를 전략 무기화할 경우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전망이다.
결국 중국에서 희토류 공급을 줄이거나 가격을 올리면 공급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실제로 지난해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 24만톤 중 중국에서만 14만톤이 생산됐다.
현재 희토류 최대 수요국은 미국이다. 이에 중국은 희토류를 무기화할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 백악관도 올해 6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할 것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정현호 기자
hs1042@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