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용 석탄 수입 20%는 인도네시아
겨울철 전력수급 불안 위기감 높아져
정부 "당장 전력수급에 큰 영향 없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인도네시아가 석탄 수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국제 석탄 가격이 폭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원유, 가스 등 에너지 가격의 연쇄 상승 우려로 국내 전력 산업까지 영향권에 들었다.
4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자국 내 발전용 석탄재고 부족을 이유로 지난 1일(현지시간)부터 한 달간 석탄 수출을 금지했다. 이번 조치 배경에는 인도네시아 전력공사가 내수용 석탄 구매가격을 톤(t)당 70달러로 제한하면서 불거졌다.
현지 석탄업체들은 톤당 90~100달러 이상의 고가로 수출하길 원했고, 이에 현지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력공급이 끊길 우려가 커지자 발전용 유연탄 수출을 금지하는 강력한 카드를 빼 들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이어서 이번 조치로 국제 석탄 가격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함께 인도네시아발 석탄 금수 조치까지 맞물려 국제 에너지 시장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됐다.
우선 겨울철 전력수요 급증에 따른 에너지대란 유발 가능성이 제기된다. 우리나라도 석탄발전 감축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시기에는 석탄발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석탄 수입 국가별 비중은 인도네시아가 전체의 20%를 차지했다. 호주(49%)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석탄 수급이 차질을 빚으면 전력수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박기영 2차관 주재로 지난 3일 에너지·자원 수급관리 태스크포스(TF) 긴급회의를 열고 국내 수급 동향을 점검했다.
당장 정부는 이미 확보한 재고량과 다른 국가 수입량을 합할 경우 전력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달 입고물량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산 수입 석탄 중 55%는 선적·출항한 상태로 국내에 정상 입고될 예정이다.
정부의 석탄 수입선 다변화로 지난해 요소수와 같은 최악의 공급망 위기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산업부는 전력혁신정책관을 반장으로 ‘인니 석탄 수출금지 조치 대응반’을 가동하고, 에너지 관계기관, 해외공관과 협력을 통해 석탄·전력 수급 관리에 힘쓸 예정이다.
국내 발전업계 관계자는 “현재까지 확보된 재고물량으로 당장 전력공급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문제는 사태가 오래 이어질 경우로 인접 국가를 통한 수입 등 상황별 플랜을 통해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신년부터 원자재 수급 악재?…인도네시아 1월 석탄 수출 전격 금지
- 한국 경제 위협하는 '희토류'… "중국 규제에 달렸다"
- 중.러 주도 혹독한 글로벌 자원 전쟁... 긴장하는 산업계
- '미국 꼼짝마라' 중국 희토류 ‘메가기업’ 출범… 광물 무기화 노골화
- 산업부, 2022년 업무계획…수출 7000억달러+α 목표
- 신장 위구르족 자치지구 입성한 테슬라, 미국 아닌 중국 선택했나?
- 정부, "공급망 이슈 대응… 핵심품목 수급 안정화에 총력"
- 지난달 전력수급의 9.4%는 '태양광'
- [총성 없는 전쟁 ①] 요소수 대란은 서막… 대륙 '자원무기화' 파장은?
- 국내 요소수 수급 불안 해소… 생산·접근성 '개선'
- 정부, '뉴 스페이스' 시대 앞당긴다…"항공·우주산업 지원 강화"
- [총성 없는 전쟁 ②] 자원무기화 대응 위해 '정부·민간' 뭉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