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 산업안보 TF 회의 개최, 공급망 이슈 점검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주요국 환경규제 강화와 오미크론 변이 확산, 원자재 수급 불안정 등으로 국내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품목 수급 상황을 점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박진규 제1차관 주재로 민관합동 ‘제16차 산업안보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하고 핵심품목 수급 안정화 등 공급 이슈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반도체·이차전지 등 업종별 협회·단체, 대한상의·한국무역협회 등 경제단체, 코트라(KOTRA)·산업연구원 등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박 차관은 “완전한 위기 극복을 위해 공급망 불안요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철저한 대응이 선결과제”라며 “반도체 등 첨단 기술 초격차 유지와 빈틈없는 공급망 구축 등 산업 전반에서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당장 공급망 이슈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했다. 자동차업계도 동남아시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지난해 대비 진정세로, 반도체 수급 상황이 회복돼 단기 수급 차질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했다.
다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원자재 수급 차질로 인한 가격상승을 우려했다. 전문가들도 미국이 신장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 수입 금지 조치를 비롯한 미·중 갈등에 따른 공급망 디커플링(세계경제 흐름과 달리 독자적인 경제흐름이 나타나는 현상) 조짐을 국내 공급망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또한 중국에서 탄소중립을 본격화함에 따라 이차전지 등 핵심소재 수요 증가로 희토류 등에 대한 통제조치 가능성이 있는 만큼 만반의 대비를 주문했다. 참석자들은 공통적으로 핵심 품목에 대한 철저한 수급 안정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산업부는 이와 관련 해외공관과 무역관, 국내 무역협회 등을 활용한 조기경보시스템(EWS)을 가동해 공급망 불안 요인과 핵심품목 수급 안정화에 총력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액화천연가스(LNG)·원유 등 원자재 수급 차질 발생 시 즉각 대응하는 한편 차량용 반도체 수급 애로 해소와 자립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인도네시아발 석탄 금수에 연초부터 글로벌 에너지 대란 조짐
- 산업부, 2022년 업무계획…수출 7000억달러+α 목표
- '요소 수입선 다변화'… 정부 베트남산 요소 수입 협의
- 한국 경제 위협하는 '희토류'… "중국 규제에 달렸다"
- [신년사] 문승욱, "혁신으로 글로벌 제조 강국 위상 높일 것"
- 정부 "방역패스 제동 즉시항고"…자영업자 "우리도 소송한다"
- 반도체 수급난에도… 국내 수입차 '최다판매' 기록
- 해상풍력 TF 첫발, 보급 활성화 초점
- "삼성전자·TSMC 따라잡겠다" 중국 야심찬 포부, 결국 수포로
- [총성 없는 전쟁 ①] 요소수 대란은 서막… 대륙 '자원무기화' 파장은?
- 정부, '뉴 스페이스' 시대 앞당긴다…"항공·우주산업 지원 강화"
- [총성 없는 전쟁 ②] 자원무기화 대응 위해 '정부·민간' 뭉친다
- [총성없는 자원전쟁 ③] 부유국 횡포에 각국 공급망 불안감↑
- 정부, 에너지분야 핵심기술 확보 총력… '1835억원' 지원
- 원자재 수입기업 90% "올해도 글로벌 공급망 불안 지속될 것"
- 코트라, 중국 봉쇄조치에 수출물류 '긴급 지원'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