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 올 2분기 35.7% 추가 생산
정부, 수입 늘리고 대체물량 확보 계획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로 건설업계의 ‘시멘트 대란’ 우려가 심화돼 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쳐 대책 마련에 나선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국토교통부, 시멘트업계, 시멘트협회와 ‘시멘트 수급안정을 위한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정부에 따르면 겨울철 시멘트업계의 친환경 설비투자 확대와 예상치 못한 건설공사 증가로 올 3월 평균 시멘트 재고가 70만톤 수준에 불과하다. 아울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면서 재고가 부족해졌다.
이에 시멘트업계는 이번 회의에서 수급 안정화를 위해 2분기에 1분기(1055만톤) 대비 377만톤(35.7%)을 추가로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시멘트 생산설비인 킬른 10기를 추가로 가동해 지난달(22기)보다 10기 추가한 32기를 운영할 계획이다. 월평균 38만톤 규모 수출물량도 내수로 전환해 국내에 우선 공급할 계획이다.
정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유연탄 공급망 불안을 대체 물량 확보와 연료 전환 등을 통해 해결할 예정이다. 우선 러시아 이외 대체 수입국인 호주 등으로부터의 수입비중을 늘리고 중장기적으로는 친환경 연료전환을 통해 유연탄 의존도를 낮출 방침이다.
또 철도 운송 확대 등을 통한 시멘트 물류 원활화 방안도 추진한다. 철도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철도화차 배차량 증대 등으로 시멘트 철도운송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시멘트업계와 레미콘업계, 건설업계와 협력해 제조 현장과 건설공사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대응 방안이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일일 시멘트 수급 현황 점검과 주간 업계 간담회 등 상세한 모니터링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