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터카 음주운전 증가에 따른 시범운영

[서울와이어 김예은 기자]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음주운전 방지장치 부착 차량을 대여해주는 시범운영사업을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광주의 한 고등학생이 렌터카에 8명을 태운 채로 음주운전을 하는 등 렌터카 음주운전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사업용 자동차 교통사고 사망자를 업종별로 조사했다. 화물 1137명(35.9%), 택시 840명(26.5%), 버스 686명(21.7%), 렌터카 505명(15.9%)으로 렌터카 사망자가 가장 적었다.
그러나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렌터카 83명(65.4%), 화물 22명(17.3%), 택시 17명(13.4%), 버스 5명(3.9%)으로 렌터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렌터카 10만대 당 음주운전 사망자 수는 2.2명으로 비사업용 승용차 1.3명에 비해 1.8배 많이 발생했다. 동기간 비사업용 승용차의 음주운전 사망자 수는 13.1% 감소한 반면 렌터카는 11.4% 증가했다
이에 따라 렌터카 음주운전 감소 방안으로 시동 전에 음주 측정 단계를 거치도록 시동이 제한되는 렌터카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음주운전 방지 장치는 미국, 스웨덴 등 해외에서 음주운전 경력자를 대상으로 운영 중이다. 공단은 시범 사업을 거쳐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효과와 문제점, 국내 적용 방안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권용복 공단 이사장은 “음주운전 방지 장치 시범운영을 통해 음주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부여하는 한편 사고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음주운전은 타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범죄행위로 단 한 잔의 음주라도 절대 운전대를 잡아서는 안된다”라고 말했다.
- 대한항공, 국토부와 UAM 운항시스템 개발한다
- 티웨이항공 국제선 확장, 일본·동남아 운항 재개
- 그랜드 조선 제주, 최상급 스위트 객실 패키지 오픈
- 티웨이항공, 대형기 도입으로 국제선 재개 시동
- 에어서울, 괌 노선 재운항 기념 특가 이벤트
- 쌍용차, 전 차종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 수자원공사, 제2회 'K-테스트베드' 통합공모
- BMW 그룹 코리아, 한국전력과 '플러그 앤 차지' 개발
- 지프, '이스터 지프 사파리'서 콘셉트카 10종 공개
- 한국관광공사, 카카오와 관광데이터 활용 공모전 개최
- 현대차그룹, 스마트폰으로 차문 여는 '디지털키2' 서비스 시작
- '타다 넥스트' 시동, 모빌리티산업 경쟁 '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