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식업·스크린 골프장·병원·호텔 등 다양한 업종서 도입

일산의 한 음식점에서 고객이 AI 서비스로봇이 매장 일을 돕고 있다. 사진=KT 제공
일산의 한 음식점에서 고객이 AI 서비스로봇이 매장 일을 돕고 있다. 사진=KT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KT가 선보인 ‘인공지능(AI) 서비스로봇’이 오프라인 소상공인 사이에서 인기다. 매장 직원이 손님 응대나 조리와 같은 주요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서빙 등의 반복 업무를 대신 수행해주기 때문이다.

KT 강북·강원광역본부는 수도권 북부와 강원도 지역에서 AI 서비스로봇 도입 매장 수가 100곳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AI 서비스로봇은 서빙·퇴식·순회 기능을 가진 자율주행 방식의 로봇이다. 별도 설치물이 필요 없는 완전한 자율주행 기술과 다양한 형태의 트레이를 제공해 어떠한 매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하다.

3D공간맵핑, 자율주행 기술 등 최첨단 소프트웨어가 탑재돼 장애물 발견 시 유연하게 피해서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로봇의 트레이에는 자체 무게 센서 감지 기술이 적용돼 있어 손님이 테이블에서 물건을 내리면 자동으로 대기 장소로 돌아간다.

과거 서빙로봇은 ‘신기하다’ 수준에 그쳤으나 최근엔 소상공인의 손발을 돕는다. 일산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권성완씨는 “매장에 방문하는 손님들이 여러 면에서 만족해하는 모습을 보니 우리 가게에 없어서는 안될 직원으로 느껴진다”고 설명했다.

KT 관계자는 “AI 서비스로봇은 요식업 외에도 스크린 골프장, 병원, 호텔 등 다양한 업종에 도입 돼 있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혁신 기술 도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