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전·프리미엄 TV 제품군 판매 호조

LG전자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1조1114억원, 영업이익 1조8805억원을 달성했다. 생활가전과 TV사업이 전체 실적을 주도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LG전자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1조1114억원, 영업이익 1조8805억원을 달성했다. 생활가전과 TV사업이 전체 실적을 주도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28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1조1114억원, 영업이익 1조8805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8.5%, 영업이익은 6.4% 증가했다. 가전과 TV 수요 증가에 힘입어 대외악재에도 견조한 실적을 냈다. 

H&A사업본부(생활가전) 매출은 7조9702억원, 영업이익 447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분기 사상 최대치로 전년 동기 대비 18.8% 늘었다. LG 오브제컬렉션을 비롯해 신가전, 스팀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증가했다. 또한 해외 주요 시장에서 매출이 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HE사업본부(TV)의 경우 글로벌 TV 시장의 정체 속 올레드(OLED),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호조로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조649억원, 1884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매출은 2020년 4분기 이후 연속 4조원을 넘었다. 

VS사업본부(전장)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5% 늘어난 1조8776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대규모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 인포테인먼트, 전기차 파워트레인,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판매가 증가했다. 다만 흑자전환에 실패해 63억원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BS사업본부(비즈니스솔루션)는 매출 2조167억원, 영업이익 370억원을 냈다. 매출 2조원은 분기 최초다. 정보통신(IT) 제품의 신규·교체 수요로 기업 간 거래(B2B)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매출 증대에 영향을 미쳤다. 

LG전자 관계자는 “전사적으로 조직 역동성 제고 차원에서 진행한 인적구조 쇄신비용이 각 사업본부 실적에 반영됐다”며 “사업본부별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감소했지만, 특허 수익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영업이익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2분기 전망에 대해 ▲지정학적 이슈 ▲인플레이션 ▲환율 변동 ▲공급망 리스크 등 불확실성과 원자재가격 상승세, 물류비 증가와 같은 원가 인상 요인이 경영환경이 더욱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회사는 인공지능(AI), 로봇, 헬스케어 등 미래사업에 포트폴리어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프리미엄 제품군을 앞세워 시장 지배력 향상에 노력하는 동시에 전장사업 성과 창출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