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조6450억원, 전년비 19.2% ↓
중국 봉쇄와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LG생활건강은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75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2.6% 감소했다고 1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1조6450억원으로 19.2% 감소했다. 순이익은 1138억원으로 56% 줄었다. 중국 영향을 제외하면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3.9%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전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5.6%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뷰티(화장품)사업은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어려움이 지속됐던 중국의 영향으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해 매출은 6996억원, 영업이익은 690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실적 제외 시 1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6.4%, 영업이익은 0.7% 감소했다.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도 ‘후’, ‘숨’, ‘오휘’ 등 주요 럭셔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신제품 출시와 함께 디지털 갤러리를 오픈하고 대체불가능토큰(NFT)를 발행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지속 중이다.
에이치디비(홈·데일리뷰티)사업은 지난해 동기 대비 6.1% 성장한 5526억원, 영업이익은 16.6% 감소한 552억원을 기록했다. ‘벨먼’, ‘엘라스틴’, ‘피지오겔’ 등 탄탄한 수요를 가진 프리미엄 데일리뷰티와 시장 선두 입지를 가진 홈케어 브랜드가 선전하며 높은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다만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 성장은 어려웠다.
리프레쉬먼트(음료)사업의 경우 지난해 동기 대비 9.9% 성장한 3927억원, 영업이익은 2.6% 성장한 514억원을 달성했다. 높은 성장을 보인 ‘코카콜라‘와 지난해에 이어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한 ‘몬스터 에너지’가 성장을 견인했다. 비탄산 음료 ‘파워에이드’와 ‘토레타’는 건강에 높은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며 성장을 이끌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최악의 상황이 전개됐던 중국 영향으로 뷰티사업 성장은 어려웠으나 에이치디비와 리프레쉬먼트가 견고한 실적을 이어나가며 중국 영향을 일부 상쇄했다“며 “중국시장에서 대도시 봉쇄 등 어려움은 여전히 지속 중“이라고 말했다.
- 뷰티업계 노마스크 기대감?… 진짜 악재는 '중국 코로나'
- 상하이 이어 베이징까지… 봉쇄공포에 국내 유통기업 '발 동동'
- LG생활건강, 북미 뷰티사업 강화… 크렘샵 1485억원에 인수
- 뷰티업계 주총 관전포인트는… LG생건·아모레 '공통점 찾기'
- "월급빼고 다 오른다"… 김치·커피·샴푸·치약까지 3월 릴레이 인상
- LG생활건강, 2050 탄소중립 선언… "2030년까지 2000억 투입"
- K뷰티 투톱, 중국봉쇄에 실적쇼크… 북미서 탈출구 찾는다
- "단백질·이온 한번에" 코카콜라, 파워에이드 프로틴10g 출시
- LG생활건강, '피지오겔 DMT 인텐시브 립 에센스'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