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삼성 등 이달 5~10척 수주 예상
단일선박 수주로 수익성 강화 등 효과

국내 조선 3사가 카타르 LNG 운반선 선가협상에서 진전을 보여 이르면 이달 중으로 수주를 진행한다는 예측이 나왔다. 사진=현대중공업 제공
국내 조선 3사가 카타르 LNG 운반선 선가협상에서 진전을 보여 이르면 이달 중으로 수주를 진행한다는 예측이 나왔다. 사진=현대중공업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빅3’가 카타르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선가 협상에서 진전을 보였다. 이르면 이달 중으로 수주가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원자재가격과 신조선가 상승 등의 우려가 나왔으나 이 문제를 해소했다는 게 업계 의견이다.

조선업계는 6일 2022 대구세계가스총회에 참석한 카타르에너지 관계자들과 조선업계 인사들 간의 만남에서 합의점을 찾았다고 밝혔다. 

카타르 국영 석유 회사인 카타르에너지는 조선 빅3와 100척 이상의 LNG선 건조 슬롯 계약을 2020년 맺었다. 새선박(신조)용 도크를 선점하는 식의 슬롯 계약으로 규모만 한화 약 24조원에 달한다.

업계는 3사들이 각 5~10척을 수주해 2025~2026년 중 인도할 것으로 예측했다. 일각에서 가격 상승으로 2020년 계약조건으로 체결하면 적자수주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왔으나 이번 협상에서 이를 일부 해소한 것으로 보인다. 후판 가격은 2년 전보다 2배 올랐고 17만4000입방미터(㎥)급 LNG 운반선 가격도 1억8600만달러에서 2억2600만달러로 상승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가격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어느 정도 연동하도록 계약이 돼 있어서 적자 수주를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며 "같은 선박을 여러 척 수주하면 설계를 한 번만 한 뒤 연속 건조를 하기에 수익성 상승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카타르는 세계 최대 LNG 생산국으로 2027년까지 1억2600만톤(t)의 LNG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LNG 운반선이 필요해 한국과 중국 등에 슬롯계약을 진행했고 최근까지는 먼저 계약한 중국 후등조선에 LNG선을 발주해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