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발사 전 점검 중 이상 발견, 2차 발사 무산
원인 파악·보완 작업 늦어지면 추후 일정 불투명

1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사전 점검 중 센서 이상이 발견된 누리호(KSLV-Ⅱ)가 다시 조립동으로 이송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사전 점검 중 센서 이상이 발견된 누리호(KSLV-Ⅱ)가 다시 조립동으로 이송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오늘(16일) 예정됐던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가 하루 전인 15일 다시 무산됐다. 지난 14일 강풍으로 한 차례 발사가 지연된 데 이어 이번에는 기술적인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공우주연구원은 15일 발사 전 점검을 실시하던 중 센서 이상이 발견됨에 따라 발사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15일 오전 발사체종합조립동을 떠나 발사대로 이송된 누리호는 기립과 전기적 체결 후 센서 점검을 실시했다. 그 과정에서 1단부 산화제탱크의 레벨센서 신호 점검 중 이상이 감지됐다.

레벨센서는 탱크 안의 산화제 충전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다. 발사체가 기립하면 레벨센서의 값이 변해야 하지만 당일 점검에서는 같은 값을 나타냈다. 

항우연 연구진은 레벨센서 이상의 원인 파악에 들어갔지만 분석이 어려워 다시 누리호를 발사체 조립동으로 이송해 점검하기로 결정했다.

향후 발사 일정은 불투명한 상태다. 항우연은 오는 23일까지를 발사예비일로 지정해 대응 시나리오를 짰지만 현재로서는 원인 파악과 보완 작업이 우선이다. 상세 점검을 통해 조치를 완료한 뒤 발사관리위원회를 통해 발사일을 다시 정할 예정이다.

발사예비일 이후로 일정이 미뤄지면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에 발사 관련 일정을 통보하는 절차부터 다시 거쳐야 한다.

한편 누리호는 지난해 10월21일 1차 발사에서 3단 엔진의 연소가 조기에 종료돼 위성모사체가 목표궤도에 안착하지 못했다.

15일 오전 발사대로 이송된 누리호는 센서 점검 과정에서 1단부 산화제탱크의 레벨센서 신호에 이상이 감지됐다. 3단 산화제탱크 내 고압헬륨탱크 및 배관 배치도.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15일 오전 발사대로 이송된 누리호는 센서 점검 과정에서 1단부 산화제탱크의 레벨센서 신호에 이상이 감지됐다. 3단 산화제탱크 내 고압헬륨탱크 및 배관 배치도.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