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망자 표기 비판에 중립적 용어 사용 해명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참사 추모 공간에 시민들이 놓고 간 추모의 꽃이 놓여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참사 추모 공간에 시민들이 놓고 간 추모의 꽃이 놓여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서울 이태원에서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사고’와 ‘참사’, ‘사망자’와 ‘희생자’ 등 용어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정부가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대통령실은 행정상의 표현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야권은 최근 정부가 전국에 마련된 분향소 현수막에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로 표현한 것에 불만을 제기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명백한 참사를 사고로 표현해 사건을 축소하거나 희생자를 사망자로 표현해 책임을 회피하려는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위성곤 원내수석부대표도 “이태원 참사의 희생자가 그냥 죽은 사람인가. 정부 눈에는 그리 보이느냐”고 지적했다.

정부는 가해자와 책임 부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중립적인 용어를 사용했다는 입장이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지난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명확하게 가해자 책임이 나오는 부분에 대해서는 희생자, 피해자 용어를 사용하지만 지금은 그런 상황이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며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해 사망자, 사상자로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역시 같은 입장이다. 대통령실은 “공식적인 행정문서에서 표현하는 것을 현 정부가 갖고 있는 애도의 마음과 혼동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