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미국이라는 '공동의 적; 앞에서 더욱 긴밀해진 모습을 과시했다  (사진/ 타스=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미국이라는 '공동의 적; 앞에서 더욱 긴밀해진 모습을 과시했다  (사진/ 타스=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평화중재자를 자처했지만 결과는 침공에 대한 '면죄부'였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에 반대하면서도 러시아군이 강제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에서의 '철수'는 일언반구도 없었다.

22일 미 CNN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크렘린궁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내놓은 공동성명에서 "러시아는 중국의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객관적인고 공정한 입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 "우리는군사적, 정치적, 기타 이익을  얻기 위해 다른 나라의 정당한 안보이익을 훼손하는 모든 국가와 그들의 연합에 반대한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24일 '우크라이나 위기의 정치적 해결에 관한 중국의 입장'을  발표했는데 러시아가 이를  '객관적이고 공정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중국의 제안은 유엔 안보리를 거치지 않은 모든 형태의 독자적인 제재에 반대하는 한편 각국의 주권과 독립, 영토의 완전성 보장, 유엔헌장 취지 준수, 냉전사고 버리기, 각국의 합리적 안보우려 존중 등을 핵심으로 한다. 우크라이나에서의 핵무기 사용도 반대한다. 

양국 정상은 또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안보분야와 관련한 모든 국가의 합리적인 우려를 존중하고, 블록대결 구도를 방지하며, 갈등을 부채질하는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나토(NATO)의 동진을 우려하는 러시아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의 우크라이나 군사지원에 반대한다는 데 두 정상이 뜻을 모은 것이다.  

두 정상은 "통제불가능한 국면이 될 정도로 위기가 악화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긴장 고조와 적대감의 장기화를 부추기는 모든 조치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우회한 모든 일방적 제재에 반대한다"고 했다.

미국을 위시한 서방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부과한 일방적 경제 제재 등을 해제하라는 뜻이다.

시진핑 주석과 푸틴 대통령의 이날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공동성명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 4개지역(루한스크, 도네츠크, 자포리자, 헤르손)을 점령한 현실을 인정한  토대 위에서 평화협상을 진행하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제사회에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 '적대행위 중단'과 '평화적 대화'를 내세우면서도 '침공'이나 '철수'와 같은 말은 한마디도 없었다.

결국 시진핑의 평화제안은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면죄부만 준 꼴이 됐다. 미국과의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러시아를 끌어안아  결속을 공고히 하는 것이  자국의 '핵심이익'이라고 판단한 셈이다. 러시아 역시 마찬가지 입장이다.

진핑과 푸틴의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상식적 시각에서 어떤 면에서도 중국을 공정하게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커비 대변인은 "그들은 이 전쟁이 (평화협상으로) 곧 끝날것처럼 희망을 주지만 현실에서는 그런 것이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중국이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건설적인 역할을 원한다면 영향력을 행사해 러시아가 전쟁을 끝내도록 촉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