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명중 1명 원리금상환에 소득 70% 쓴다
작년 4분기 기준 전체 6.3%는 취약차주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년 만에 40%를 넘어섰다.

전체 차주 7명 중 1명은  연 소득 70% 이상을 빚 갚는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3일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3월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가계대출 차주의 작년 4분기 평균 DSR은 40.6%로 집계됐다. 2018년 2분기(40.8%) 이후 최고 수준이다. 2021년 1분기(37.4%) 저점 이후 7개 분기 연속 상승세다. DSR은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을 뜻하는 지표다.

기존 대출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대다수 차주의 DSR은 33.8%에서 38.4%로 높아졌다. 금리상승으로 인해 가만히 있어도 매달 갚아야 하는 대출 원금과 이자 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68.1%(대출 비중 34.4%)는 DSR 40% 이하였지만, DSR이 70%를 초과하는 고DSR 차주가 7명 중 1명꼴인 전체의 15.3%(대출 비중 41.9%)였다. 또, 100%를 초과해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은 차주도 11명 중 1명인 8.9%(대출 비중 29.4%)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후)인 취약차주는 4분기 기준전체의 6.3%로, 이들의 평균 DSR은 66.6%에 달했다.

우리나라는 DSR이 주요국 대비 높은 수준에 속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DSR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3.7%로 호주(14.9%)에 이어 주요국 중 두 번째로 높았다. 2019년말 대비 상승폭은 1.5%포인트로 가장 컸다. 

BIS의 DSR은 분모인 소득이 금융부채 미보유 가계가 포함되고 분자인 원리금상환액을 산정할 때 대출만기를 일괄 적용하고 있어 차주 단위 DSR과 달리 실제보다 과소 산정됐을 가능성이 있다.
    
한은은 이처럼 가계 전반의 부실위험은 낮지만, 향후 채무상환 부담이 과도하고 자산처분을 통한 부채상환 여력도 부족한 고위험가구의부실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DSR이 40%,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모두 상회하는 고위험가구는 2월 현재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5.0%, 금융부채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구체적으로 고위험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2억5000만원으로, 비고위험가구(1억원)의 2.5배였다.

금융권별로는 저축은행 및 여신전문사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현재도 이미 높은 데다, 향후에도 다소 빠르게 상승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경우 고위험가구 대상 대출 비중이 낮아 연체율 상승 정도가 제한적일 것으로 추정했다.

저축은행과 여전사는 가계대출 고위험가구 대출 비중이 각각 26.6%와 16.6%로 은행(7.2%), 상호금융(11.6%), 보험사(12.4%)에 비해 높은데다, 고위험가구 대출 중 신용대출 비중도 34.1%와 41.1%로 높은 점이 문제로 지목됐다.

한은은 다만 지난해 말 기준 자본적정성 비율이 저축은행 13.3%(규제비율 7%), 여전사 17.8%(규제비율 7∼8%) 등으로 나타나 손실 흡수능력이 양호한 만큼 기관 부실 우려는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 능력 제고와 연체 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면서 "DSR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분할상환 및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꾸준히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