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제어도면, 종이에서 디지털로 전환
제어논리 검증 신뢰성 확보, 검증시간↓

[서울와이어 현지용 기자]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이 15일 국내 최초로 원자력발전소 제어도면을 기존 종이에서 디지털화 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수원에 따르면 원전 제어도면은 발전소에 디지털 신호가 입출력될 때 회로의 흐름을 포함한 도면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원전 제어도면은 종이로만 돼있어 발전소 제어 시스템 운용 및 제어 흐름 이해에사 관리 및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를 갖고 있어다.
또 발전소 운영 및 정비시 제어논리의 해석, 설계변경시 설계변경 도면의 확인 및 검증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돼왔다.
이에 한수원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도면의 문자 및 심볼을 인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술 개발을 성공했다.
또 인식된 문자 및 심볼을 이용해 디지털 도면을 재생산하고 디지털 도면을 자체 개발한 검증 방법으로 검증, 검증된 도면 및 자체 개발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시간 출력값 확인 기능도 개발했다.
한수원은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종이 제어도면의 쉬운 디지털화 및 제어 흐름의 컴퓨터 검증으로 기존 도면 변경 및 검증에 사용되던 시간을 약 30분의 1로 단축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또 이를 통한 제어논리 검증 결과의 신뢰성도 확보가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개발된 기술은 한울3발전소에서 활용하며 기술의 우수함이 증명됐다”며 “앞으로 모든 원전에 확대 적용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소기업 기술이전을 통해 원전 중소기업과 상생 발전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지용 기자
jiyong@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