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정년 퇴직자 '2년마다 신차 25% 할인' 요구
과도한 복지는 경영에 부담주고 차 가격에 반영
건강한 노사관계서 '서로 윈윈하는' 접점 찾아야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현대차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고 글로벌 자동차 판매 3위에 오르자 노조 측이 퇴직 후 복지 확대를 요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과도한 복지 요구라는 비판과 함께 업계 안팎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19일 확인된 올해 임단협 요구안에 따르면 기존 25년 이상 장기 근속한 정년 퇴직자에게 제공하는 ‘2년마다 신차 25% 할인’ 제도를 모든 정년 퇴직자에게 확대 적용할 것을 적시했다.
현대차 노조 측의 주장은 “조합원 간 불평등을 없애자는 취지”라며 회사 측과 교섭에 돌입할 예정이다.
◆제너럴 모터스가 파산 직전까지 간 이유
완성차업계에선 비판이 거세다. 글로벌 자동차시장이 전동화로 급변하는 상황에서 노조가 과도한 복지 확대를 요구한다는 지적이다. 노조의 기득권 챙기기에 불과하고 경영 효율화 움직임과도 동떨어졌다는 비판이다. 특히 복지제도는 한번 시행하면 번복하기 어려워 비용이 순식간에 눈덩이처럼 불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를테면 미국의 제너럴모터스(GM) 파산사태가 있었다. 미국 자동차의 상징이었던 GM은 1950년대 초호황기에 퇴직자들의 생계와 의료비용까지 전부 지원해주는 복지 제도를 시행했다. 50년 만인 2000년에 이르러서 100만명이 넘는 직원과 퇴직자 의료보험 비용으로 1년에 7조7000억원을 지출했다. 심지어 퇴직자에게 지급해야 할 연금이 무려 77조원에 달했다. 당시 GM 시가총액의 4배였다.
결국 GM은 파산 직전이 돼서야 강력한 구조조정과 복지 축소에 돌입했고 대규모 실업자 양산과 본사가 위치한 디트로이트시까지 같이 파산하는 엄청난 나비효과를 일으켰다.
◆과도한 복지는 소비자에 가격 부담 전가
지난해 발간된 현대차 지속가능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 전체 근로자 중 50세 이상은 3만2032명으로 44%에 달한다. 10%에 불과한 30세 미만 7516명의 4.5배다. 주류를 차지한 고참 직원들의 정년퇴직이 몇 년 남지 않은 상황이다.
물론 현대차 임단협이 요구한 복지 안의 규모를 GM 사태와 직접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시사하는 바는 크다. 당시 GM은 복지 비용을 메우느라 자동차 가격을 눈덩이처럼 올렸다. 파산 직전 차량 1대에 포함된 복지비용은 약 200만원에 달했다. 차한대를 판 이익금은 의료보험과 연금납입에 사용됐다.
현대차도 과도한 복지 비용으로 차량 가격이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 결국 소비자에게 복지 비용이 전가될 수밖에 없고 장기적으로 경쟁력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7만2600여명이 근무하는 현대차에선 매년 2500명가량이 정년퇴직한다. 노조 요구대로라면 퇴직자들은 5000만원짜리 차량을 2년마다 3600만원에 살 수 있다. 현대차의 매출원가율이 82%가량인 것을 고려하면 차량원가 4100만원보다 500만원 싸게 차를 사는 셈이다. 이 매몰비용은 고스란히 회사가 감당해야 할 손해다.
◆복지만 요구보다 건강한 노사상생 위해야
GM사태와 반대로 거울 삼아야할 사례가 있다. 2005년 도요타 자동차는 매출액 약 210조원을 달성하며 사상최대의 이익을 냈다. 당시 노사는 5년째 임금동결에 합의해서 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줬다.
도요타는 과거 1950년에 인력감축과 파업 등으로 극심한 노사분규를 겪은 바 있다. 하지만 노사분규의 경험에서 ‘기업의 번영과 근로자의 근로조건은 불가분 관계’라는 인식이 자리잡았고 그 이후 56년째 무분규와 흑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의 복지제도는 다른 국내 완성차업체와 비교해봐도 과도하다는 시각이 많다. 수입차는 물론 한국GM, 르노코리아는 퇴직자를 위한 차량 구매 할인 제도가 없다. KG모빌리티도 퇴직자 할인 혜택은 퇴사 후 1~2년까지만 제공한다.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퇴직자 복지는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퇴직자는 결국 늘어나게 돼있고 복지비용은 계속 쌓이게 된다”며 “문제는 장기적으로 현대차의 가격 상승이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키울 수 있다는 사실이다. 복지를 당장 줄이진 않더라도 늘리는데 신중하거나 미세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현대차그룹·KTC, 전기차 충전 인프라 품질인증센터 개소
- 현대차그룹, 부산 엑스포 홍보영상 1억뷰 돌파
- 현대오토에버, 내비게이션 신규 기능 2종 업데이트
- 대기업 중고차시장 상륙에… 중소사 '협업 성벽' 세운다
- '20만원 더 비싼' 전기차 전용타이어, 꼭 써야 할까?
- 내주 상장 알멕‧시큐센‧오픈놀… '따따상' 나올까
- BBQ, 버려진 페트병으로 만든 친환경 유니폼 도입... "ESG경영 강화"
- 현대차, 전동화 전환 핵심전략 '현대 모터 웨이' 공개
- 원희룡, 현대차 노조에 "모든 정년퇴직자 신차 25% 할인? 어처구니 없다"
- 현대차그룹, 자연서 영감 얻은 디자인 프로젝트 공개
- 민노총, 오늘부터 2주 총파업… 택배·마트 '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