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UAM 최신기술 선보여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한화시스템이 19~25일(현지 시각) 7일간 프랑스 파리 근교의 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리고 있는 파리에어쇼에 참여한다.
한화 통합 전시관은 ‘발사체·위성체·위성 서비스’ 등 그룹사의 우주산업 밸류체인 역량을 집결한 스페이스 존, 에어모빌리티 존, 에어 존 등 3개의 구역으로 운영한다.
한화시스템은 전시관 중앙에 국내 최초로 기술 국산화에 성공한 '초소형 영상레이다 위성'을 공개했다. 영상 레이다로 악천후에도 우주에서 지상을 꿰뚫어보듯 관측할 수 있다. 소형화·경량화로 다수의 위성을 한 번에 쏘아 올릴 수 있는 장점도 갖췄다.
한화시스템은 스페이스 존에서 ‘우주 인터넷’ 실현을 위해 육·해·공 어디서든 저궤도 통신위성과 연결해주는 ‘전자식 빔 조향 위성통신 안테나’도 함께 전시한다. 한화시스템은 이달 초 과기부에 기간통신 사업자 등록을 신청하고 정부와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B2G·B2B 위성통신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한화시스템은 에어모빌리티 존에서 미국 오버에어사와 공동개발 중인 6인승용 UAM(도심항공교통) 기체 ‘버터플라이’ 모형을 선보인다. 한화시스템은 올해 말 실물 크기의 UAM 무인 시제기 제작을 완료한다. 내년 초부터는 무인 비행시험을 미국에서 착수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이 에어존에서는 세계 방위산업 주요 수출국으로 도약한 K-방산 저력을 증명할 최첨단 항공 레이다 및 센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한화시스템이 국과연과 공동으로 세계 12번째로 개발한 KF-21 탑재용 'AESA 레이다'와 무인기용 전자광학(EO)·적외선(IR) 감시정찰센서 제품군은 유럽연합(EU) 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다.
한화시스템의 항공센서는 빠르고 정밀한 표적 탐지력과 연합군 전력과 공조하도록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시스템과 호환 설계다.
한화 관계자는 "세계적 박람회인 파리에어쇼에서 한화의 기술력을 보여줄 수 있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방산업체로서 연구 개발에 적극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 김동관 부회장, 한화오션 인수 뒤 깜짝 '현장경영'
- 구미에 유무인복합 특화 방산클러스터 조성
- [메타센서] 출항한 한화오션… 올해 '적자 파고' 넘어설까
- 한화시스템, 우주 전력 확보에 박차… 'SAR군집위성' 개발 추진
- 한국공항공사, 미국 조비와 UAM 핵심기술 교류 워크숍
- 대한제분·세븐브로이, 완판행진 곰표밀맥주 '소송전'
- 통신3사 20년 철밥통도 깨지나… 정부 '제4이통사·알뜰폰' 육성
- 한화시스템, 함정 ESC 국산화 기술 확보… "스마트 해군 실현 앞장"
- 한화시스템 사내벤처 '플렉셀 스페이스', 우주용 태양전지 개발 가속화
- 한화시스템, 미 콜린스와 '차세대 무전기' 면허생산 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