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일 통화스와프는 '달러화 스와프' 방식
정부 "규모보단 8년 만에 복원 사실 더 큰 의미"

[서울와이어 최찬우 기자] 한국과 일본이 8년만에 1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9일 오후 일본 도쿄 재무성에서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을 만나 '제8차 한일재무장관회의'를 하고 통화스와프 복원에 최종 합의했다.
통화스와프는 유사 시 타국 중앙은행끼리 자국 통화를 서로 빌려주는 계약이다. 이번 한·일 통화스와프는 '달러화 스와프' 방식이다. 우리가 원화를 맡기면서 일본 측에서 보유한 달러화를 차입하고, 역으로 일본이 엔화를 맡기면 우리가 달러화를 빌려주는 구조다. 계약 기간은 3년이다.
현재 우리의 외환보유고는 4200억달러 이상으로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한다. 이는 중국보다 GDP 대비로는 더 높은 수준이다.
이번에 체결된 양국 간 통화스와프는 2015년 2월 중단된 이후 8년 만이다. 한일 통화스와프는 2001년 20억달러 규모로 체결돼 2011년 말 규모가 700억달러까지 늘었지만, 2012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규모가 줄기 시작했고 2015년 2월 100억달러 규모 계약이 만기를 맞아 종료됐다.
기획재정부는 "한일 통화스와프 체결은 유사시 상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아세안+3' 등 역내 경제·금융안정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한미일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 연대와 협력의 성과가 글로벌 금융안정 공조까지도 확산하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통화스와프 규모보단 8년 만에 복원됐다는 사실 자체가 더 큰 의미"라며 "앞으로 양국 간 금융협력의 진전을 위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