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철근 누락' 등으로 부실 시공 논란을 빚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아파트 단지 설계·감리에 참여한 전관 업체들과 3년간 2000억원이 넘는 규모의 수의계약을 맺은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정하 국민의힘 의원이 LH에서 받은 자료에서 이 같은 내용이 확인됐다.
자료에 따르면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가 발생한 인천 검단 안단테 아파트를 포함해 16개 단지 설계·감리에 참여한 전관 업체 18개사는 2020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경쟁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LH가 발주한 77건의 용역 계약을 따냈다.
가장 많은 수의계약을 맺은 A건축사사무소는 LH 출신이 창립해 3기 신도시 공동주택 설계용역 등 11건, 343억원을 수주했다.
또 LH 처장·부장급을 영입한 B건축사사무소는 고양창릉, 파주운정 등 신도시 아파트 단지 설계용역 6건을 275억원에 수주했다.
인천 검단 안단테 아파트를 설계한 C사 역시 지난 3년 동안 수의계약을 통해 설계용역 6건, 269억원 규모를 수주한 것으로 확인됐다.
무량판 기둥 154개 전체에 전단보강 철근이 빠진 채 양주 회천아파트 단지를 설계한 D종합건축사사무소는 수의계약으로 설계용역을 대거 수주해 왔다.
이들 업체가 수의계약을 통해 따낸 용역은 금액으로만 2335억원에 달한다.
전관 업체와의 수의계약 문제는 앞서 감사원도 지적한 문제다. 실제 전관 업체와 맺은 계약 3건 중 1건(34.1%)이 경쟁 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이었다.
LH는 전관예우 문제가 수면 위로 떠 오르자 설계·시공·감리 선정 권한을 다른 기관에 넘기겠다고 밝혔다.
이한준 LH 사장은 이와 관련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가진 권한을 과감하게 민간이나 다른 기관에 넘기고 감리 선정 권한은 LH에서 떼어 내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