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회의서 '양자보안통신' 개발 발표
양자역학 이용해 유·무선 통신망 보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도 구현가능

심동희 SK텔레콤 혁신사업추진팀장이 양자보안통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제공
심동희 SK텔레콤 혁신사업추진팀장이 양자보안통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제공

[서울와이어 박동인 기자] SK텔레콤은 다음 달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하반기 국제회의에서 '양자보안통신(QSC)' 표준 과제에 대한 개발을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SKT는 올 상반기 신규 제안에 성공해 과제로 채택된 '양자보안통신'의 표준 개발 작업에 나선다.

'양자보안통신'은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통신 전 과정을 보호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양자키분배기술(QKD)과 양자내성암호(PQC)의 장점을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통신보안기술이다.

QKD는 양자 역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해킹이 불가능할 정도로 보안 강도가 높다. 이는 하드웨어 기반 기술로, 사업자는 물리적인 키 분배장치를 구간마다 설치하고 운용해야 한다.

PQC는 수학적 난제를 활용해 양자컴퓨터가 풀어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도록 하는 암호화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구현이 가능해 확장성이 뛰어나다.

현재 SKT는 양자암호와 PQC를 통합관리하는 솔루션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를 활용하면 양자암호키와 PQC의 통합운영이 가능해 QKD를 적용한 구간과 PQC를 적용한 구간을 연결, 통신 전 구간을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 구간에 두 기술을 모두 사용해 보안 강도를 극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테면 데이터센터에서 스마트폰까지 통신이 진행되는 경우 유선망을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에서 인터넷망 구간과 교환국, 기지국 구간에는 양자암호를 적용하고 무선망 기반의 기지국과 스마트폰 사이에는 PQC를 적용해 통신 전 구간을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식이다. 

데이터가 대규모로 저장되는 데이터센터와 백업센터 간 또는 공공, 국방, 금융 등 중요하고 민감한 정보가 저장된 센터에는 양자암호기술을 적용하고, 이를 무선 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할 때는 PQC를 적용하면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SKT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시행되는 차기 연구 회기에서 정보보호연구반 내 양자암호통신 관련 내용을 다루는 실무 작업반의 표준화 영역을 양자 기술 전반으로 확장하자는 기고도 제출해 이번 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