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스텝 리즈닝 ’기술로 사용자 검색 의도 직관적으로 분석

[서울와이어 서동민 기자] 네이버가 20일부터 생성형 AI 검색 ‘Cue(큐):’의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다.
지난달 출시한 대화형 AI 서비스인 ‘CLOVA X’가 문서 작성, 창작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업과 개인의 생산성 향상을 꾀하는 도구라면, ‘Cue:’는 생성형 AI를 검색에 접목, 복잡한 질의에도 사용자의 의도를 단번에 파악해 검색 편의를 획기적으로 높인 것이 특징이다.
‘Cue:’는 직관적인 답변으로 일반 사용자에게 새로운 검색 경험을 제공하고 쇼핑, 페이, 플레이스 등 폭넓은 네이버 생태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네이버 검색이 추구하는 다양성과 연결의 가치를 한 차원 더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사측은 밝혔다.
‘Cue:’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 질의도 명확하게 이해하고, 스스로 체계적인 검색 과정을 거쳐 답변을 생성한다. 특히, ‘Cue:’에 적용된 차별화된 기술인 ‘멀티스텝 리즈닝(단계별 추론, Multi-step reasoning)’을 통해 사용자는 생성된 답변이 어떤 과정을 통해 제공됐는지 논리의 흐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검색 결과에 기반한 신뢰성 있는 답변을 제공해 검색 서비스로서 'Cue:'의 가치를 높였다. 기존 생성형 AI 챗봇이 사전 학습된 데이터를 토대로 답변을 창작하는 것과는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기존 검색의 한계점도 보완했다. 키워드 기반의 검색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 부합하는 문서를 찾아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을 때까지 검색을 반복해야 한다. 반면 ‘Cue:’는 다양한 의도가 섞인 문장을 입력해도 흩어져 있는 네이버 서비스와 검색 결과 속에서 적합한 정보를 찾고, 이를 조합하여 복합적인 답변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 검색에 드는 수고도 줄여준다.
예를 들어, “원룸에서 초보자가 키우기 좋은 식물과 관리법 알려줘”라는 복합적인 질문의 경우, 원룸에서 키우기 좋은 식물 특징과 장점, 관리법 순으로 검색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별 검색 과정을 거치고 각 단계에서 수집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생성된 답변과 참고정보를 제공한다.
또 일회성 문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추가 탐색을 돕는 다양한 기능도 더했다. 답변 내 ‘더보기’를 클릭하면 통합검색 결과로 연동되어 추가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고, 하단에 제공되는 ‘후속 질문’을 통해 주제와 연관된 관심사와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
네이버는 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해 20일 오전 10시부터 클로즈드 베타(closed beta) 형태로 PC 환경에서 ‘Cue:’를 우선 제공한다. 별도 서비스 페이지에서 네이버 아이디로 가입 후 승인을 받아 사용 가능하다.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네이버는 수많은 콘텐츠부터 방대한 서비스 생태계를 보유한 글로벌 유일무이한 플랫폼으로서, 생성형 AI 시대에도 주도권을 놓치지 않고 차별화된 사용성으로 기술을 통해 연결의 가치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