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이커머스 11번가의 강제매각 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사진=11번가 제공
1세대 이커머스 11번가의 강제매각 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사진=11번가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1세대 이커머스 11번가의 강제매각 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11번가 재무적투자자(FI)인 나인홀딩스 컨소시엄은 최근 매각 주관사로 씨티글로벌마켓증권과 삼정KPMG를 선정하고 강제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국민연금, 새마을금고, 사모펀드 운용사 에이치앤큐(H&Q) 코리아로 구성된 나인홀딩스 컨소시엄은 2018년 11번가에 5000억원을 투자하면서 지분 18.18%를 보유하게 됐다.

당시 11번가는 해당 컨소시엄으로부터 투자를 받으면서 5년 이내에 상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업황 악화 및 증시 불황으로 투자 약정상 조건인 5년 기한(지난해 9월30일) 내 기업공개(IPO)를 달성 못하게 됐다.

이후 11번가 모기업인 SK스퀘어가 FI가 보유한 지분을 다시 사들이는 ‘콜옵션’ 행사를 포기하면서 이제는 FI가 직접 매각 작업을 통해 원금 회수에 나서게 된 것이다.

이번 매각은 FI가 자금을 먼저 회수하는 워터폴(Waterfall) 방식으로 진행된다. 매각 희망액은 5000억원대로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8년 투자 당시 11번가 기업가치(3조원 안팎)를 한참 밑도는 것으로 투자 원금만 회수해 빠져나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현재 인수 가능 업체로는 11번가와 전략적 제휴 관계인 미국의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과 한국 이커머스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알리바바그룹 등이 거론된다.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전자상거래 업체 큐텐이 다시 입질할지도 관심사다.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쇼핑 등을 거느린 큐텐은 지난해 하반기 11번가 지분 인수 협상에 나섰으나 SK스퀘어에 투자금 조달로 발생할 채무의 지급 보증을 요구하면서 막판에 협상이 무산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