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배병선)는 2013~2014년 충남 부여군 규암면 소재 왕흥사지(사적 제427호)에 대한 발굴조사 때 출토됐던 백제 치미를 복원하여 3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

□ 치미(鴟尾): 동아시아 전통건축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지붕의 장식기와로 건물의 용마루 양 끝에 올려 건물의 위엄을 높이고, 귀신을 쫓는 역할을 하는 부재

부여 왕흥사지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지난 2000년부터 총 15차에 걸쳐 학술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유적으로, 특히 2007년에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보물 제1767호)가 나와 큰 주목을 받았던 절터이다.

□ 사리장엄(舍利莊嚴): 사리를 담는 그릇인 사리기(舍利器), 사리기 등을 넣는 사리감(舍利龕), 사리기와 함께 봉안되는 각종 공양품 등을 아울러 이름

장식된 막새문양과 발굴된 다른 유물을 비교해 볼 때 이번에 공개되는 치미는 왕흥사지 창건 당시(577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부소산 폐사지 치미, 미륵사지 치미 등 현재까지 알려진 고대 치미들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백제 사비기의 기와 제작기술과 건축기술, 건축양식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귀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출토된 치미는 전체를 한 몸으로 제작한 후, 상·하로 나누어 가마에서 구워낸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 승방터로 판단되는 건물지의 남북 양끝에서 각 1점씩 출토되었는데 고대 건물지에서 용마루 좌우의 치미 1벌(2점)이 함께 출토된 사례는 처음이다. 건물 지붕에서 떨어지면서 파손된 채 오랜 기간 땅에 묻혀있어 파편들도 많이 사라진 상태였다.

□ 승방(僧房): 사찰 승려들이 거주하는 곳

이에 남쪽 치미는 상부만, 북쪽 치미는 하부만 복원했으며, 3차원 입체영상(3D) 기술을 활용해 상하부 전체를 복원한 이미지도 만들었다. 이렇게 복원된 3D 영상 속 치미의 높이는 123㎝, 최대너비 74㎝로, 중국의 남조척(1자=24.5㎝ 전후)을 적용하면 5자 정도 높이에, 너비는 3자에 해당된다.

왕흥사지 치미는 마름모꼴의 꽃장식인 연화문(蓮花紋), 구름문, 초화문(草花紋) 등의 문양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고, 전체적으로는 꼬리 부분을 하늘로 향해 날카롭게 표현하여 마치 새가 꼬리를 세워 비상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여기서 단순할 수도 있는 지붕장식을 화려함과 위엄을 갖춘 예술품으로 승화시킨 백제 최고 수준의 장인 정신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사찰의 금당 혹은 강당 등 중요 건물에만 치미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알려진 사례와 달리, 승려들이 사용하는 승방 건물에까지 치미가 쓰였다는 점은 당시 승려들의 높은 지위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도 주목된다.

출토된 치미는 3일 오후 1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진행되는 ‘6∼7세기 백제·신라 기와의 대외교류’ 학술대회에서 관계전문가들과 일반에 한 차례 공개되며, 오는 29일부터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세계유산 백제’에 출품되어 전시될 예정이다.

[서울와이어 김 민기자]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